포항시립미술관 한국근현대미술전 ‘봄이 와 있었다’

조선의 화원 장승업부터 민중미술가 임옥상까지
'오늘의 상황에 지친 우리 삶에 용기와 희망을'

20:51

포항시립미술관 올해 첫 기획 한국근현대미술전 ‘봄이 와 있었다’가 지난달 9일부터 전시를 이어가고 있다. 19세기 말 조선의 화원 장승업부터 우리 시대 민중미술가 임옥상까지 작가 40명의 작품 49점과 관련자료 70여 점을 오는 5월 9일까지 만날 수 있다.

▲장승업 ‘잡화도십곡병’, 포항시립미술관 ‘봄이 와 있었다’전 (사진=정용태 기자)
▲황술조 ‘구룡포 근견’, 포항시립미술관 ‘봄이 와 있었다’전 (사진=정용태 기자)

1~3전시실과 초헌 장두건관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구한말부터 오늘날까지 시대를 크게 네 영역으로 구분했다. 1전시실에서는 조선 정통회화의 계승과 서구 조형기법의 이식으로 형성된 근대회화를 소개한다. 초헌 장두건관에는 해방 이후 한국적 향토성을 기반한 작품을, 2전시실에서는 전쟁 이후 작가들과 그들이 추구했던 다양한 시도를, 마지막 3전시실에서는 1980년대 이후 사회 참여적 미술 현장을 중심으로 꾸몄다.

이보경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은 “코로나로 지친 우리 삶에 용기와 희망을 북돋고자 마련한 전시”라며 “근대와 현대를 넘어가는 그 어려웠던 시절을 살아냈던, 구한말 당대에 이름을 날렸던 장승업과 개화기 이후 작가들의 작품을 필두로 전시를 꾸몄다. 그 시대를 디테일하게 표현한 서화 중심의 전시를 통해 시민들에게 재미를 드리는 전시, 미술사의 큰 흐름 속에서 우리 소장 조각품과 어우러지는 전시로 기획했다”고 말했다.

1전시실은 구한말을 살다간 조선의 화원 장승업(1843~1897)의 ‘잡화도십곡병’에서 시작한다. 노수현의 ‘신록’, 이종우의 ‘응시’, 나혜석의 ‘녹동풍경’, 배운성의 ‘대가족’, 김기창의 ‘농악’, 윤효중의 ‘사과를 든 모녀상’, 황술조의 ‘구룡포 근견’ 등의 작품을 통해 전통적인 양식과 외래 양식이 공존하거나 대립했던 한국근대미술의 태동기의 작품으로 꾸몄다. 전시실 내부 2층은 당대 교과서와 간행물 등 한국 근현대미술 자료와 1930~60년대 한국 흑백 영화 같은 관련자료를 전시했다.

초헌 장두건관은 기존의 미적 감수성에 서구 근대미술 양식을 받아들인 작가들을 소개했다. 전시작은 박수근의 ‘소금장수’, 한묵의 ‘구성’, 김환기의 ‘십자구도’, 권진규의 ‘영희’, 장두건의 ‘산간 농가의 봄날’, 장욱진의 ‘무제’, 천경자의 ‘그라나다의 도서관장’ 등 당대의 생활상과 우리의 자연을 그린 작품들이다.

2전시실은 조형성에서 구체적 일상보다 근원적 원형에 다가섰던 1960년대 이후 작품을 전시했다. 백남준의 ‘무제’ 등과 송영수의 ‘소녀’, 오종욱의 ‘원자시대의 미망인’을 비롯해 1970년대 윤형근, 정창섭, 정상화, 박서보 등 단색화 작가와 조형적 실험을 펼쳐냈던 곽인식, 이응노를 소개했다.

3전시실은 오윤(1946-1986)의 ‘도깨비’, 류인(1956-1999)의 ‘정전’, 구본주(1967-2003)의 ‘파랑새’를 비롯해 임옥상의 ‘대한민국헌법’ 등 민중미술가로 불리는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했다. 이들은 1980년대 미술의 사회적 역할을 고민하며 직접 마주한 현장의 모습을 그려냈다.

▲박수근’소금장수’, 포항시립미술관 ‘봄이 와 있었다’전 (사진=정용태 기자)
▲엄태정 ‘청동기의 흐름-72′(앞)과 백남준의 작품들, 포항시립미술관 ‘봄이 와 있었다’전 (사진=정용태 기자)

전시는 홈페이지를 통한 사전예약제로 입장할 수 있고, 관람 인원은 시간당 40명으로 한정한다. 3월까지는 10시부터 저녁 6시까지, 4월부터는 저녁 7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전시 문의는 054-270-4700으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