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월 15일, 미국 뉴욕을 출발해 노스캐롤라이나 샬럿으로 향하던 US에어웨이 1549편 항공기가 이륙한 지 2분 만에 버드 스트라이크(조류가 비행기에 부딪히거나 엔진 속에 빨려 들어가 항공사고를 일으키는 현상)로 허드슨 강에 불시착했다. 승무원과 승객 155명 전원은 큰 부상 없이 무사히 구조됐다. 기체가 갑자기 날아든 새 떼와 충돌해 양쪽 날개 엔진 모두 고장 난 상태로 강물 위에 착수(着水)했는데도 탑승객들이 무사하다는 점에서 ‘기적’이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그날 뉴욕의 기온은 영하 7도였다. 1549편 항공기는 버드 스트라이크로 양쪽 날개 엔진 모두 고장 났다. 항공기는 고도 975m에서 1초에 5m씩 추락하는 중이었다. 선택지는 라과디아 공항으로 회항하거나, 인근 테터보로 공항으로 향하는 것이다. 관제탑은 주변 모든 공항 활주로를 열어 놓지만, 체슬리 설렌버거(이하 설리, 톰행크스) 기장은 허드슨 강에 비상 착수한다. 활주로에 도달하기도 전에 추락하리란 걸 직감했기 때문이다. 42년 차 베테랑인 설리 기장은 비행 경험만 1만 9,500시간에 물 위 착륙법을 배웠다. 하지만 비상 착수 성공 사례는 전무했다.
설리 기장은 엔진이 망가진 항공기를 글라이더처럼 활공시켜 강에 착수했다. 항공기 꼬리 부분이 부서지긴 했지만, 탑승객 전원이 무사했다. 하지만 비행정이 아닌 항공기의 수상 착륙은 위험하다. 수면 저항 때문에 좌우 균형이 조금만 틀어져도 기체가 강 위에 뒹굴며 분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설리 기장은 허드슨 강에 미끄러지듯 성공적으로 항공기를 착수시켰고 주변 페리와 보트가 일제히 달려와 탑승객을 구조했다. 사망자는 없고 부상자는 5명에 그쳤다.
하지만 미연방교통안전위원회(NTSB)는 사고의 전모를 철저하게 조사한다. 영웅으로 추앙받는 설리 기장에게는 가혹할 정도였다. 허드슨 강의 비상 착수가 최선의 선택인지, 왜 공항으로 회항하지 않았는지, 술은 언제 얼마나 마셨는지, 약물 경험이나 가정불화는 없었는지 날카롭게 그를 몰아세운다.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한 공청회에선 가상 시뮬레이션까지 벌인다. 한 점의 의문도 샅샅이 뒤지고 털어서 원인과 책임을 규명하는 것이다.
영화는 사고 전 이륙부터 청문회까지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설리 기장은 조사위가 제기한 뜻밖의 의문에 고뇌에 빠진다. 정말 최선의 선택을 한 것인지, 알량한 영웅심 따위는 아니었는지 스스로 되묻는다. 회항을 선택했을 때 벌어졌을 악몽을 꾸고 넋을 잃어 자신을 부르는 소리도 듣지 못할 정도의 스트레스를 겪는다. 환영에 시달리기도 한다. 꺼진 TV에서 한 기자가 나와 “허드슨 강의 기적을 만든 설리 기장, 당신은 영웅인가요? 아니면 사기꾼인가요?”라고 질문한다. 침대에 누워 설핏 잠이 들었던 설리는 마치 이 질문을 실제로 들은 것처럼 소스라치게 놀라며 깨어난다.
해피엔딩의 이면을 살피는 영화의 서사 탓에 실화를 각색한 영화를 보면서 감동은 유보된다. 신중하게 영화를 관람하게 된다. 기적을 속단과 숭고로 해석하지 않게 된다. 내용을 의심하고 숙고하게 된다.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건 허드슨 강의 기적은 영웅적 결단이 아니라 평소 하던 일, 마땅히 해야 할 일의 결과물이라는 것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