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구시민사회를 응원합니다] (16) 대한에이즈예방협회 대구경북지회, 김도은

13:22

[편집자주] ‘코로나19, 대구시민사회를 응원합니다’는 대구시민센터와 대구시민공익활동지원센터, 그리고 대구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센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공공영역에서 놓쳤거나 더 소외된 이웃을 도운 대구 지역 시민단체 활동가를 만나 인터뷰했다. 인터뷰는 각 센터 대표자나 담당자들이 진행했고, 대구시민센터의 박서영 인턴활동가가 인터뷰를 정리했다.

▲대구 시민사회 응원금을 전달받고 있는 김도은 님(오른쪽), 인터뷰는 대구시민센터 유가영 매니저가 진행했다.

Q. 교육공동체 대한에이즈예방협회 대구경북지회의 활동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주세요.

저희 대한에이즈예방협회는 HIV/AIDS 감염인(PL,  People Living with HIV)을 위한 인권증진 활동과 심리 상담, PL분들의 자활을 위한 카페 운영, HIV/AIDS 인식개선을 위한 에이즈 예방교육과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 장애인, 이주여성 등 소수의 소리를 내는 곳들과 함께 연대 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Q. 국가 재난상황(코로나19)으로 인해 힘든 시기였습니다. 특히 대구·경북에서 2~4월이 많이 힘든 시기였는데, 대한에이즈예방협회 대구경북지회의 상황은 어떠했나요?

원래 2월~4월은 한 해의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등 가장 바쁜 시기예요. 그런데 재난상황이 이렇게 바로 앞에 닥쳐올지는 생각도 해본 적이 없었고, 현실처럼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많이 당황했는데, 우리 단체의 경우 서비스를 받는 분들이 면역체계나 감염 부분에 굉장히 취약하기 때문에 일단 이분들을 어떻게 보호해야 할지부터 생각했습니다.

▲상담소장과 활동가들이 DUO를 통해 화상으로 PL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확진자가 매일 늘어날수록 도움 받을 곳은 더 없었고 코로나19로 인한 크고 작은 피해가 더 많아지면서 좀 불안했습니다. 그 불안 속에서 최대한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자가격리를 적극적으로 실천하며 버텼어요. 집에만 갇혀있어야 하니 다들 힘든 시간을 보낼 수밖에 없었지만, SNS를 통해 서로의 심리상태를 확인하고 다독였습니다. 특히, 심리적으로 위축되어있는 중에 상담소장님이 DUO라는 어플을 통해 영상통화로 상담을 진행하면서 서로의 얼굴을 보고 대화도 하고, 안부도 챙길 수 있게 되어 답답한 마음을 조금은 해소할 수 있었습니다.

Q. 외부에서 오는 도움의 손길도 있었습니다. 후원물품이나 후원금 등 나눔의 손길이 어떻게 도움이 되었나요?

이 부분은 정말 말로 형용할 수 없을 정도로 감사했습니다. 모든 사람이 정신없을 상황에, 시민센터에서 먼저 손 내밀어 주시고, 도움을 주시니 이용자분들이 눈물을 글썽일 정도로 너무 고마워하셨습니다. PL분들은 면역 부분에 취약하기 때문에 바깥 외출이 어려운데, 이러한 지원으로 밖을 나가지 않고도 식품이나 생활용품 등을 해결할 수 있었어요. 어떻게 보면 정말 생명과 직결되는 부분의 도움이기에 정말 감사하고, 좋았습니다. 저희도 물품을 전달하며 잠시나마 얼굴을 보며 인사를 나누고, 아주 짧은 만남이었지만 반가운 마음의 여운을 길게 가지고 가며 버텨낼 수 있었습니다.

Q. 활동을 하면서 보람을 느끼거나 애틋한 사례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사례가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HIV나 AIDS 바이러스가 간혹 실명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에 만난 분 중에 한 분이 시력을 잃은 분이셨는데, 그동안 협회에 직접 나오지는 못하셨지만 상담소장님이 계속 연락을 하면서 지원을 하고 있는 분이었습니다. 어느 날 그분 댁에 방문을 가서 지원 물품을 드리니 그분이 그것을 하나하나 만지면서 엄청 우셨어요. 그동안 위축된 마음으로 있었는데, 이렇게 도와주는 사람도 있냐고요. 고마워하면서 받기만 하는 것에 미안해하면서 박카스 한 병을 주기도 하셨습니다. 이런 분들이 참 많은데, 이렇게 위로를 받고서 ‘다시 열심히 살게요, 잘살아 볼게요’라고 하실 때 이분들을 위해 더 많은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과 함께 활동가로서의 자부심도 느낄 수 있었습니다.

Q. 재난상황이 발생하면 취약계층의 어려움은 더 클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앞으로 재난상황을 대비하여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나 지자체에서 우선적으로 해야 할 과제가 있을까요?

기존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이들을 돕기 위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기존 지원을 받던 분들은 코로나 관련 지원금도 수월히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사각지대에 있었던 이들은 이번에도 제외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또한 재산 기준 등 까다로운 선정기준으로 인해 당장 위기에 빠진 이들을 돕지 못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또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가구 단위로 지급되거나, 지역 상품권 등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 홈리스, 등록 주소지와 거주지가 다른 사람들은 실질적으로 사용을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들을 위해 세대주 기준이 아닌 신청자 기준으로 지원금을 지급하고 지역 상품권 이외에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지급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한에이즈예방협회 대구경북지회 활동가들.

Q. 앞으로 이런 재난이 또 오지 말라는 법은 없습니다. 재난상황에 대비하는 대구시민사회의 역할과 과제는 무엇이 있을까요?

재난 체계에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안전한 집입니다. 이번 코로나19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자가격리, 모임 자제 등 예방의 근본이 ‘집’과 ‘위생’이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집이 없는 사람들과 안전하지 않은 집, 집이 아닌 곳에 살고 있는 이들에 대한 주거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요양병원, 폐쇄병동과 같이 감염에 취약한 곳의 방역에 굉장히 힘써야 하고, 또 쪽방촌 같은 곳에 대한 주거 환경 개선이나 지원 역시 있어야 합니다. 감염에 취약한 상태에 있는 사람들이 계속해서 취약한 채로 있지 않도록 시민단체와 대구시민들의 꾸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