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선우] 자기 욕망 찾아가는 그녀의 세계, ‘아워 바디’

09:59

인생은 곧잘 달리기에 비유된다. ‘부모의 재산에 따라 출발선이 달라진다’거나, ‘뒤돌아보지 말고 앞만 보고 달려라’는 말들은 격언처럼 회자된다. 온라인에는 달리기를 통해 좌절을 극복한 사례들이 널려 있고, 달리기로 배운 유익함과 즐거움을 전파하는 사람들도 더러 생겼다. 1994년 개봉한 <포레스트 검프>에서는 목적도 없고 방향도 없이 그냥 달리는 포레스트 검프를 고행하는 성자처럼 비추기도 했다.

한가람 감독의 첫 장편영화 <아워 바디(our body)>는 8년 차 행정고시생 자영(최희서)이 달리기를 시작하며 겪는 몸과 삶의 변화에 집중한 영화다. 명문대를 졸업해 공무원 준비에만 매달리다 이룬 것 없이 서른한 살이 된 자영에게서는 패배감이 짙게 배어있다. 감정이 다 메마른 채 삶에 찌든 그는 오랫동안 사귄 남자친구와도 무덤덤하게 이별한다.

지친 자영은 매일같이 동네를 달리는 동갑내기 현주(안지혜)를 만나 달리기에 빠진다. 달리기로 삶의 의욕을 되찾은 그는 사무직 아르바이트로 시작한 첫 사회생활에서도 자신감을 갖게 된다. 이는 운동하면 삶이 나아지고 남들에게 인정받는다고 믿는 심리다. 노력한 대로 되지 않는 세상에서 대학이든 직장이든 뭔가 결과를 내야 한다는 스트레스가 있는데, 내 의지로 뭔가 해내고 있다는 것을 지속해서 보여줄 수단이 ‘몸’이기 때문에 몸을 가꾸는 것이다.

영화는 되는 것 없던 청춘이 운동으로 새 삶을 찾는 결말로 이어지지 않는다. 영화의 본론은 그다음이다. 자영에게 예기치 못한 공허감이 찾아든다. ‘현주의 건강한 몸’이 손에 잡힐 듯 가까워졌지만, 현주를 잃은 뒤로부터는 목적지까지 잃어버린 탓이다. 이후 자영은 목적 없이 계속 앞만 보고 달린다. 늦은 밤이든, 동생이 뒤따라오든 멈추지 않고 달린다. 끝내 자영은 현주를 동경하던 끝에 극 중에서 현주처럼 행동하는 모습을 보이기까지 한다.

그러면서 자영은 주체적으로 자신의 성 정체성을 드러낸다. 사회에서 대상화될 뿐이던 여성 신체를 주체적인 시선에서 새롭게 바라본 것이다. 여성이 스스로 자신의 몸을 이야기하는 것이 어느새 낯선 일이 돼 버린 요즘 상황에서 <아워 바디>는 역설적이다. 영화는 사회가 제시한 것이 아닌 자기 스스로의 욕망을 찾아가는 자영의 세계에 집중했다. 자영은 처음에는 현주의 성적 판타지를 대신 채우다가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결국 본인이 원하는 대로 움직인다. 하지만 희망이 보이는 열린 결말이 아니라 물음만 주어진 채 끝난다.

올해는 자극적인 범죄 액션물 혹은 애국심이나 사회적 메시지를 내세운 획일적인 ‘흥행 코드’로 쓴맛을 본 상업영화들 사이에서 여성 감독 영화들이 단연 돋보인다. 앞서 윤가은 감독의 <우리집>과 김보라 감독의 <벌새>는 평단의 호평을 얻음과 동시에 독립영화로서는 이례적인 흥행을 하고 있다. 이는 이미 새로운 이야기와 영화적 주체를 받아들일 관객들이 적지 않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아워 바디>는 지난해 캐나다 토론토국제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 등에 초청돼 주목받았다. 앞서 이경미 감독의 <비밀은 없다(2015년)>나 전고운 감독의 <소공녀(2017년)>도 평단의 반응이 뜨거웠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성 감독의 약진은 우연이 아니라 여성 감독들의 시간과 노력이 쌓여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미스터리 펑키 코미디라는 새로운 장르를 선보인 <메기>와 새로운 시선을 그린 <아워 바디>에 이어 ‘여성 영화 약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