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2016년부터 대구시 주최, 대구시민센터 주관으로 ‘대구청년NGO활동확산사업’이 진행 중입니다. NGO(비정부기구)를 통해 청년들의 공익 활동 경험을 증진시키고, 청년들의 공익 활동이 NGO에는 새로운 활력이 되고자 합니다. 2019년에는 20개 단체와 20명의 청년이 만나 3월부터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뉴스민>은 대구시민센터가 진행한 청년NGO 활동가 인터뷰를 매주 수요일 싣습니다. 이 글은 ‘청년NGO활동가확산사업’ 블로그(http://dgbingo.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커피 한 잔씩 앞에 두고 “사무실 밖으로 나오니 좋다”며 한 시간이 넘도록 이야기보따리를 풀었다. 조영태 활동가는 NGO활동가들을 만나면서 본인은 아직까지도 ‘우물 안 개구리’였음을 깨달았다고 한다.
활동은 할 만한가?
=3월부터 활동을 시작했는데 엄청 만족스럽다.
조영태 활동가는 참여연대에서 어떤 활동을 하는가?
=주로 민간 위탁 관련 자료조사, 해외 공무, 국외 연수 관련 5년 치 자료를 조사했다. 업무추진비 관련 조사는 개인적으로 조사해서 게시물을 올렸다.
대구청년NGO활동확산사업에 참여하기 전에는 어떤 활동을 했는가?
=미래당(우리미래) 활동을 했다. 창당 초기 대구 공동대표로 활동했고, 지금은 교육팀장을 맡고 있다.
청년정치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 언제부터 관심을 가지게 되었나?
=꿈은 글 쓰는 사람이었다. 그런데 여러 사정이 있어 전문대로 진학했다가 군대를 다녀오고 통일 관련 활동을 했다. 우리나라의 상황이 보이기 시작했고, 내 탓으로만 여겼던 문제들 틈 속에서 구조적인 문제도 같이 보이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정당 창당에 참여하게 됐다.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20대 중반부터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가졌던 것 같다.
청년NGO활동가로 활동하게 된 계기가 있는가?
=회사를 퇴사할 때 즈음이었다. 지인의 소개로 이 사업을 알게 되었는데, 관심 있던 분야에서 활동하면서 생활에서 필요한 자금을 얻을 수 있고, 기존에 활동하고 있는 선배 활동가들을 만나서 조금 더 배울 수 있을 것 같아서 지원했다.
실제로 어떤 것을 배웠는가?
=기자회견을 나가게 되었다. (활동하기 전에는) 현장에서의 만남이 없었다. 정치를 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주간에는 일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당사자의 이야기를 나누고, 직접 들을 계기가 없었다. 충격적이었던 것은, 기자회견할 때였다. 이론적으론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당사자를 만났을 때의 감정을 생각해보면 ‘나는 아직까지도 우물 안 개구리였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직접 만나지 않고 느꼈던 부분도 다른데 ‘나는 다 안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이론적으로 알고 있던 것과 ‘차이’가 있다고 했는데, 그 ‘차이’가 어떤 것인가?
=이론상으로 공부했을 땐, 사회적인 피해자들은 우리 사회가 함께 품고 가야 할 대상으로 생각했다. 어떤 기자회견 당시 (피해자가) 내 옆에 있었는데, (그분이 피해자인지) 그땐 몰랐다. 그냥 평범한 시민인 줄 알았다. 그런데 기자회견장에서 “실제 피해자분께서 발언하겠습니다” 라고 하자, 제 옆에 계시던 분이 발언을 하러 나갔다. 제 옆에 있던 그 사람이 피해자라고 인식하는 순간 나도 모르게 거부감이 들었다. 그때 ‘거부감이 왜 올라오지? 난 알고 있다고 생각했었는데, 실제로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말로만 떠들었겠구나’라는 것을 깨달았다. ‘우리가 직접 겪어보지 않고 누군가의 이야기를 듣고 생각하기만 했을 때, 많은 차이가 있겠구나. 그렇다면 우리가 직접 가서 만나고 듣고 이야기 나누는 것이 좋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다.
대구참여연대는 어떤 단체인가?
=권력층, 기업가들의 지원을 받지 않고 시민들의 후원으로 대구시정, 의정 감시 활동하는 있다.
참여연대의 분위기는 어떤가?
=자유롭다. 일반 회사 생활을 하면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일을 한다. 참여연대도 그런 부분이 있겠지만, 유동성이 있다. 명확한 상하관계가 있는 것도 아니고, 서로가 일하는 스타일을 존중해주는 분위기가 좋다. 경직되어 있지 않고 자유로운 분위기다.
참여연대에서 조영태 활동가의 역할은 무엇인가?
=지금 녹음되고 있지 않은가?(웃음) 이제 한 달 반 정도 지났다. 그런데 8개월이라는 활동기간이 정해져 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겠지만, 이제 하나씩 하나씩 배워가는 과정이다. 단체에서 어떤 사업의 꼭지를 맡기엔 힘든 상황이다. 나의 역할은 기존 활동가들을 지원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단순 업무를 뒷받침해주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활동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지를 뒤에서 볼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히 많이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3월부터 지금까지 활동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어떤 활동인가?
=아까도 말했지만, 기자회견장에 있을 때가 기억에 많이 남는다. 실제로 당사자들이 나와서 이야기를 하는 현장에서 들을 때도 그렇고, 시민들의 표정을 볼 때도 많은 생각이 든다.
어떤 생각인가?
=조금 오글거릴 수도 있는 말인데, 기자회견장을 가보면 기득권층의 현장인 경우가 많다. 등지고 있는 건물도 높다. 그런 높은 건물에서 기득권층은 자신의 기득권을 유지하려 하고, 우리가 이야기하든 말든 상관없이 높은 건물에서 우리를 바라볼 것이다. 거기 모여 있는 우리는 작고 힘이 없는 사람들이다. 땡볕, 혹한에도 현장에 나가서 이야기 한다. 절박함으로 본인의 괴로움을 알아달라고 싸우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주변을 지나는 시민들은 무관심하게 지나가는 것 같다. 우리 앞에는 무관심한 사람들이 많고, 뒤에는 단단한 벽같이 느껴지는 사람들이 많다. 혼자라면 못했겠지만 모여 있기에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 그런데 또 생각해보면, 안 보이는 곳에서 연대가 없는 소수자는 목소리조차 내지 못하고 더 힘들지 않을까 생각했다.
8개월의 활동이 끝나고 계획하는 것이 있는가?
=내년 총선 준비를 할 것이다. 일자리가 끊겼으니 일을 하면서 소득을 얻고, 총선 준비를 하며 정당에서 출마하는 분들을 도울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 있는가?
=내년에도 이 사업이 진행될 텐데, 참여하는 활동가들이 본인의 목소리를 내달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 본인들의 목소리를 세상에 내고, 그런 목소리를 내는데 같이 가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