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오후 종교단체와 탈핵시민단체는 기자회견을 열고,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11차 전기본) 폐기를 촉구했다. 이들은 11차 전기본에 담긴 원전 2기 추가 건설과 노후원전 연장 운영에 대해 지적하고, 이에 따라 2038년 SMR(소형모듈형원자로)를 포함해 총 36기의 핵발전소가 가동될 것을 우려했다.
탈핵시민행동과 종교환경회의는 “11차 전기본은 노후 핵발전소 수명연장과 신규 핵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핵산업계만 대변하는 독소적인 내용이 포함됐다”면서 “원전 최강국을 표방한 윤석열 정부와 탈핵의 가치를 버린 민주당의 합작물”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작년 5월 11차 전기본 실무안이 발표 이후 계속된 시민사회의 비판에도 정부와 국회는 결국 일방적으로 계획을 확정했다”고 했다. 이들은 11차 전기본에 “현재 건설 중인 핵발전소 4기에 더해 핵발전소 2기를 신규 추가 건설하고, 아직 안전성과 실효성 검토조차 안된 SMR 4기까지 포함됐다”며 “노후 핵발전소 수명 연장은 당연한 듯이 포함돼 있다. 이대로라면 2038년 대한민국에는 소형원자로를 포함해 총 36기의 핵발전소가 가동된다”고 설명했다.
최경숙 탈핵시민행동 집행위원장은 “경제적이지도, 안전하지도 않은 윤석열의 핵발전 확대 정책을 그대로 가져간다는 것은 추운 겨울날 광장에 나와 윤석열을 탄핵하고 사회대개혁을 이루자는 열망을 무시하는 것”이라며 “지금 당장 11차 전기본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오광선 종교환경회의 상임대표도 “어수선한 탄핵정국에 그것도 내란수괴 윤석열이 밀어붙였던 신규 핵발전소 건설과 수명다한 노후 핵발전소 수명 연장을 정당화하는 핵 진흥 정책이 즉각 폐기되어야 한다”며 “주민과 시민단체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새 정부에서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 모든 생명들이 함께 평화롭고 안전한 생태공동체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전력수급기본계획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탈핵시민행동’에 기독교환경운동연대, 노동자연대, 녹색당, 녹색연합, 대전탈핵희망, 불교생태콘텐츠연구소, 불교환경연대, 삼척핵발전소반대투쟁위원회, 서울기후위기비상행동, 시민방사능감시센터, 아이쿱생협(강남, 강서, 도봉노원디딤돌, 서대문마포은평, 서울, 송파),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에너지정의행동, 영광핵발전소안전성확보를위한공동행동, 월성원전인접지역이주대책위원회, 정의당, 정치하는엄마들, 진보당,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 탈핵·기후위기제주행동, 탈핵부산시민연대, 탈핵에너지전환전북연대,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참여연대, 천주교남자장상협의회정의평화환경위원회, 천주교예수회사회사도직위원회, 천주교창조보전연대, 초록을그리다, 한국YWCA연합회, 한국천주교여자수도회장상연합회JPIC분과위원회, 한살림연합, 핵없는세상을위한대구시민행동, 핵없는사회를위한충북행동, 핵없는세상을위한고창군민행동, 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등 38개 단체가 속해있다.
‘종교환경회의’에는 기독교환경연대, 불교환경연대, 원불교환경연대, 천도교한울연대, 천주교창조보전연대 5개 종단이 동참했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