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3주년 세계노동절을 맞아 대구지역 노동자 6,000여명이 ‘윤석열 심판의 북을 울려라’는 슬로건 아래 모였다. 오는 7월 총파업을 앞둔 민주노총 대구본부는 투쟁선언문을 통해 “1년도 되지 않은 정권이 했다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모든 것이 과거로 돌아가 있다. 윤석열 정부의 폭주를 멈출 가장 강력한 힘은 민주노총”이라고 말했다. 주최 측은 이날 대구대회에 역대 최다 인원이 참가했다고 추산했다.
1일 오후 2시 민주노총 대구본부는 공평네거리에서 교동네거리로 이어지는 5차선 도로에서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2023 세계노동절 대구대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는 주최 측 추산 6,000여 명(경찰 추산 동일)이 모였다. 지역 시민단체와 정의당, 진보당, 녹색당 등 진보정당 관계자들도 참석했다.
민주노총 대구본부는 “노동개악과 노조혐오, 민주주의 후퇴, 친일매국외교, 민생파탄을 일삼는 윤석열 정권을 향해 전면투쟁을 선언한다”며 ▲노조법 2·3조 개정 ▲최저임금 대폭 인상 ▲노동시간·임금체계 개악 저지 ▲중대재해처벌법 개악 반대 ▲사회공공성·민생안전망 강화 ▲의료·돌봄 국가책임, 공공부분 일자리 확대 등을 결의했다.
이길우 민주노총 대구본부장은 대회사를 통해 “오늘 오전 건설노조 강원건설지부 지대장이 분신했다. 건설노조 간부들이 죽음이 아니라 투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께 하자”며 “노동절은 투쟁의 역사다. 온갖 낙인을 찍고 민주노총을 압박하는 윤석열 정부의 목표는 민주노총 말살이다.총파업 투쟁으로 윤석열 정권을 역사의 심판대에 세우자. 불평등, 양극화 해결의 첫걸음은 최저임금 인상이다. 노동시간은 줄이고 임금은 올려야 노동자의 삶이 나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박경석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는 연대사 영상에서 “노동절은 노동자들이 권리를 향해 단결해서 투쟁하는 날이다. 그 투쟁에는 노동자뿐 아니라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세상을 향한 기나긴 역사가 있다. 그 역사 속에서 장애인도 함께 투쟁하겠다”며 “노동자 권리는 장애인의 권리와 맞닿아 있다고 본다. 노동자의 투쟁과 장애인의 투쟁을 연결하고 싶다. 민주노총이 그 중심에 서달라”고 말했다.
윤기륜 민주노총 대구지하철노조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의 노동시간 개편안을 비판하며 “정부는 노동시간 개악안에 반대하는 노동자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건지, 들리지 않는 척 하는 건지 모르겠다. 이를 막을 수 있는 건 민주노총뿐”이라며 “지금도 주 52시간 제외 사업장에선 상상을 초월하는 과로를 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독단적 정책을 폐기하는 데 단결하고, 나의 노동에서 우리의 노동으로 정책을 확장하자. 나아가 후세대가 더 안전하고 건강한 노동현장을 맞이할 수 있도록 투쟁하자”고 말했다.
이날 집회는 1시간 30분간 진행됐으며, 본대회가 끝나고 참가자들은 서성네거리 방향으로 행진했다. 건설노조 대구경북본부는 국민의힘 대구시당까지 행진했다.
노동절 대구대회 전 지역 곳곳에서 사전대회가 열렸다. 오후 12시 30분 민주노총 건설노조 대구경북본부는 대구시청 앞에서 ‘불법이 판치는 건설현장 끝장내자’라는 구호로 전국 동시다발 결의대회를 열었고, 1시에는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동조합 대구지회가 B마트 대구달서점 앞에서 ‘배달의민족 단체교섭 승리를 위한 대구 라이더 행진’을 진행했다. 배달플랫폼노동조합은 5월 5일 파업을 예고하며 기본배달료 인상, 전업라이더 중심성 강화, 노동조합 활동 보장 등을 주장했다.
한편 하루 앞선 4월 30일, 경산이주노동자센터, 경북북부이주노동자센터, 경주이주노동자센터, 대구이주민선교센터, 이주와가치, 금속노조 성서공단지역지회 주최로 열린 ‘133주년 세계노동절 대구경북 이주노동자 결의대회’에선 출신국 구분 없는 노동자 단결이 강조됐다. 최근 건설노조 한 지역지부가 미등록 이주노동자에 대한 단속을 촉구한 사건에 두고 이들은 “건설노조의 투쟁이 산재 다발, 임금 체불, 저임금을 바꾸어 냈으나 건설자본이 윤석열 정권과 공모해 건설노조 탄압에 나섰다”며 “하지만 건설노조는 윤 정권 심판투쟁과 동시에 불법외국인단속이라는 요구로 미등록 이주노동자를 희생양으로 삼고 있다. 진정한 해법은 다단계 하도급 철폐, 고용안정 쟁취이며, 자본의 언어인 차별이 결코 노동자의 언어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김보현 기자
박중엽 기자
bh@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