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선우] “범죄에 애, 어른이 어딨어?”···‘방황하는 칼날’

09:44
Voiced by Amazon Polly

몇 년 전 아내를 암으로 잃고 중학생 딸 수진(이수빈)과 함께 살고 있는 이상현(정재영)은 늘 야근이다. 납품 기한을 맞추기 위해 집에 늦게 들어오는 게 다반사다. 그래서 밤늦게까지 혼자 있는 딸에게 미안한 마음이 크다. 그러던 어느 날, 수진은 버려진 동네 목욕탕에서 싸늘한 시체로 발견된다. 딸의 주검 앞에 선 상현은 절망한다.

사건 담당 형사 장억관(이성민)은 인근 불량배들의 소행으로 보고 수사망을 좁혀간다. 범인이 잡히기만을 바라며 경찰서를 배회하던 상현에게 한 통의 문자가 날아든다. 익명의 제보를 받은 상현은 가해자의 집을 찾아가 우발적으로 그를 살해하고 나머지를 향해 간다. 형사 억관은 그런 상현을 막기 위해 그를 뒤쫓는다.

“그냥 이렇게 멍하니 앉아 있는 게 정말 최선의 방법이에요?”, “범죄에 애, 어른이 어딨어? X같은 새끼들만 있는 거지.” 두 대사는 관객의 마음을 뒤흔든다. 형사책임능력이 없기 때문에 형벌이 아닌 보호처분을 받게 되는 ‘촉법소년’이란 법 앞에 가로막힌 상현은 그 길의 끝에 무엇이 있을지 모르면서 딸을 죽인 놈들을 찾아 헤맨다. 세상 부조리에 이골이 난 형사 억관은 무작정 강원도 산골을 헤매는 상현의 행적을 두고 미련하다고 탄식한다. 상현이 왜 미련하게 자신을 학대하는 기나긴 복수의 고행길에 나섰는지 그는 알고 있다.

딸을 죽인 아이와 대로변에서 마주친 상현은 형사들이 포위해 엽총을 버리라고 종용하는 가운데서도 기어이 총을 들고 아이에게 다가선다. 그는 잘못했다고 빌며 자수하겠다는 아이가 목숨을 애걸하는 가운데 왜 그랬느냐고 거세게 묻는다. 그는 악행의 이유를 알고 싶었고 심판하려 한다.

이때 배우 정재영의 표정은 딸에게 잘해주지 못한 죄책감과 자기 가족을 죽인 어린 타인에게 느끼는 원망과 연민이 뒤섞인 감정을 보여준다. 자신에 대한 반성이 전제되지 않는 직선적이고 단순한 분노가 아니라 부조리한 세상을 살아가는 어른으로서 이해할 수 없고 감당할 수 없는 절망이 새겨져 있다. 죽이고 싶지만 죽일 수 없는 입장, 아버지로서 입장과 어른으로서 입장이 교차하면서 그는 결국 ‘방황하는 칼날(심판)’을 자신에게 찌른다.

2014년 개봉된 <방황하는 칼날>은 일본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동명소설을 영화화했다. 영화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닫지만, 감정적으로 마음이 끌리기에 그의 손을 잡고 싶어진다. 영화는 누구라도 동의할 수 있는, 설사 그 행위를 인정할 수는 없어도 심정만은 이해가 가는 상황을 그린다.

범죄는 사회의 메타포다. 같은 해 개봉한 <한공주>는 <방황하는 칼날>과 같은 청소년 범죄를 소재로 다룬다. 주인공이 피해자라는 점도 유사하다. 하지만 상황은 훨씬 현실적이다. 사건은 피해 당사자인 공주의 입에서 겨우 진술되는 정도다. 당사자의 고통이 문자화될 수 없을 정도로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말이나 글로 표현되기에 공주의 피해는 현실적이다. 다친 몸을 치료해야 하고, 법정에서 스스로가 피해자임을 증명해야 한다. 고통을 누군가에게 호소해 연민을 얻을 여유는 없다. 가해자에게도 살아갈 권리가 있는 것이 아니냐며 주장하는 폭력적 손길에서 살아남아야 하기 때문이다.

끔찍한 사건에서 관객은 피해자의 부모 역할을 요구받는다. 영화에서 주인공은 피해자의 아버지다. 관객들은 상현의 모습에서 가해자들을 직접 처단해야 하는 당위성을 듣게 된다. 상현은 우연히 딸의 살해 과정을 녹화한 동영상을 보게 된다. 아버지가 느끼는 감정은 관객에게도 전달된다. 이 장면은 그의 살인에 대해 관객의 동의를 구하는 과정이 된다. 관객은 분노한 아버지의 심리에 전폭적으로 공감한다. 그렇게 그의 논리가 곧 영화의 논리가 된다.

손선우 전 영남일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