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히글라스 공장 밖 9년] (1) 해고노동자의 얼굴들

11:05
Voiced by Amazon Polly

[편집자 주] 올해로 9년째다. 2015년 7월 아사히글라스 하청노동자들 178명이 전원 해고됐다. 22명의 노동자들은 원청인 아사히글라스가 직접 고용해야 한다며 9년째 공장 앞 농성장을 지키고 있다. 1, 2심 법원도 아사히글라스가 해고노동자를 직접 고용해야 한다고 판결을 내렸지만, 노동자들은 여전히 공장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아사히글라스가 노동자 직접 고용을 거부하면서 노동자에게 배상해야 할 임금, 이자는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약 90억 원이다. 노동자들과 아사히글라스가 서로 제기했던 민사소송은 6건이고, 파견법 위반으로 진행 중인 재판도 있다. 아사히글라스는 국내 최대 로펌인 김앤장과 법무법인 태평양에 사건을 맡겼다. 법조계에 따르면 소송 대리 비용도 만만찮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사히글라스는 노동자들의 해고 이후 정문 앞 경비 강화에도 비용을 더 투입했다. 노동자를 직접 고용하는 대신 법률 대응으로 아사히글라스가 9년 동안 쓴 돈은 100억을 훌쩍 넘긴다.

노동자들은 노동조합 설립, 해고를 겪으며 다방면으로 투쟁에 나섰다. 법원을 출입하는 일도 잦아졌다. 9년 동안 26건의 다양한 사건으로 재판을 받았고, 소송비용으로만 1억 원이 넘는 돈을 썼다. 법은 도대체 누구의 편인가 질문을 수없이 했다. 30대 초반의 노동자는 40대가 됐고, 40대 중반 노동자는 50대가 됐다. 만약, 아사히글라스가 노동조합을 인정했더라면 9년째 거리에서 싸우는 일도 없었을 것이다. <뉴스민>은 노동조합을 만나 삶이 바뀐 해고노동자들의 현재 모습을 통해 노동자에게 취약한 법과 제도까지 짚어 본다.

▲[사진=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문을 넘어서는 일군의 남성들. 대중교통이 부족한 구미에서 아침부터 붐비는 버스에 시달린 이들의 얼굴. 차를 몰고 오고도 공장까지는 못 넘어가기에, 근처 대로변부터 비탈길을 걸어 오르는 이들의 얼굴. 하나같이 먹구름이 낀 듯 활력이 느껴지지 않는다.

정문에 선 경비는 남성들의 표찰과 휴대전화 카메라 보안 스티커를 확인한다. 찌푸린 표정으로 보안 점검을 마친 이들은 말없이 공장으로 흩어진다. 탈의실에서 똑같은 잿빛 작업복으로 갈아입는다. 정규직 업체 한 곳과 하청업체 세 곳의 작업복은 모두 잿빛이지만, 자세히 보면 카라 포인트가 조금씩 다르다. 작업복으로 갈아입은 노동자들은 더러는 컨베이어 앞에, 더러는 지게차로, 더러는 검사실로 뿔뿔이 흩어진다. 컨베이어는 1층 전역을 채우고 있다. 검사실은 2층이다. 2층에는 정규직 직원들이 공정을 감시하는 CCTV 화면과 업무 지시용 전화기가 놓여 있다. 벽면에는 비정규직 조별 생산 실적이 적히는 ‘월별 생산 실적 전용 게시판’이 걸려 있다.

길게는 수년 한 공장 안에서 일했던 노동자들은, 서로 마주 볼 일이 없으며 그래서 말 한마디 섞을 일도 없다. 서로 공유하는 것이 도무지 없다. 일자리를 찾아 전국 각지에서 이곳을 찾은 이들이기 때문에 학연, 지연, 혈연 뭐 하나 대 볼 것이 없다. 오히려 이들은 생산 실적을 놓고 경쟁해야 하는 관계다. 그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건 잿빛 표정밖에 없다. 이곳은 구미 아사히글라스(AGC화인테크노한국) 공장이다.

잿빛 표정으로 묶였던 이들은 해고 이후 9년을 함께 보냈다. 9년을 함께 보낸 이들의 얼굴엔 절망 대신 희망이 자리하고 있다.

*관련 기사
[아사히글라스 공장 밖 9년] (2) 구미로 흘러온 사람들 오수일 #1
[아사히글라스 공장 밖 9년] (1) 해고노동자의 얼굴들
[아사히글라스 공장 밖 9년] 해고노동자들은 어떤 일을 했나

취재=박중엽, 김보현 기자
기사=박중엽 기자
nahollow@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