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설립지연된 ‘대구지하철참사 재단’ / 영화 ‘귀향’을 보는 법

16:06

<대구시에 발목 잡힌 ‘지하철참사 재단’, 대구일보 3월 11일>
대구지하철참사 ‘2.18 안전 문화재단’ 설립이 또 늦춰진다는 소식이다. 지난해 대구시와 대구지하철참사 희생자 유족단체는 참사 차량 복원, 안전 예방 사업, 추모 사업 등을 전담할 공익재단 설립에 합의했다. 재단 주체를 누구 명의로 할 것인가로 대구시와 유족단체가 갈등을 빚으면서 원래 계획보다 7개월가량 설립 신고가 늦어졌다. 신고가 반려될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로 대구시는 시장 명의로 설립 신고를 했지만, 국민안전처는 재단 독립성을 이유로 9일 신고를 반려했다. 참사가 일어난 지 13년이 흐르는 동안 유족들 속만 타들어 간다.

영화 ‘귀향’을 보는 법
<매일신문 3월 11일,?[소리와 울림] 귀향(鬼鄕), 전과 후>
<영남일보 3월 11일,?[조정래 칼럼] 귀향>
11일 <매일신문>, <영남일보>가 영화 ‘귀향’에 대한 칼럼을 실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증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 영화는 지난 12월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분노와 관심으로 흥행 길에 올랐다. <영남일보> 조정래 논설실장은 귀향을 보고 나온 소회를 전한다. 그동안 ‘위안부’ 문제에 무심했던 것을 반성하면서 이제는 “잊지도 말고 용서하지도 말자”고 제안한다.

남재일 경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매일신문> 칼럼에서 “껄끄러운 사회적 문제를 영화 관람이라는 의사행위로 흘려보내는 일회용 소비로 그칠지는 두고 봐야 안다”며 ‘위안부’ 문제를 바로 보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본군이 어린 소녀를 집단 강간한 사건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닌 제국주의 국가에 의한 폭력, 남성이 여성에 가하는 가부장적 폭력이 중첩된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 어느 때보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은 때다. “이런 사회적 인정이 자리 잡아 집단적 힘을 발휘할 때, 가해당사자인 일본의 공식사과와 법적 배상도 앞당겨질 것이다”라는 마지막 문장은 분노 다음에 올 행동을 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