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스팩 재사용 사업을 벌이는 대구·경북 지자체가 늘고 있다. 아이스팩은 미세플라스틱 일종인 고흡수성수지를 이용해 제조되는 경우가 많아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환경부는 지난 5월 고흡수성수지를 사용한 아이스팩에 폐기물부담금을 부과할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이런 사실 때문에 전국 기초지자체는 환경 보호 정책의 일환으로 아이스팩 재사용 사업을 도입하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 2월 남구가 시작한 후 모든 구·군이 참여하고 있고, 경북도 점차 늘려가는 추세다. 현재 8곳만 참여하고 있지만 내년에는 12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환경 전문가들은 사업 취지는 긍정 평가했지만,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시행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뉴스민>이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대구시 8개 구·군과 경북 23개 시·군의 아이스팩 수거 사업 여부를 확인했다. 대구시 8개 구·군은 모두 시행 중이고, 특히 서구와 달성군을 제외하면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교환 물품으로 지급해 아이스팩 재사용을 독려했다.
경북은 경주시, 구미시, 문경시, 안동시, 영주시, 포항시, 예천군, 의성군 8개 시·군이 사업을 시행한다. 다만, 교환 물품은 의성군만 제공하고 있다. 경산시, 영천시, 봉화군, 성주군은 재사용 사업을 하지 않지만, 내년부터는 실시 계획이어서 사업 참여 지자체는 12곳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아이스팩 재사용 사업을 실시하는 지자체는 예상보다 참여 시민이 많고, 반응도 좋다고 자평했다. 경주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현재 시청이나 동사무소 등 5개 수거함이 있는데, 호응이 좋아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도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내년엔 수거함이 총 35개로 늘어난다”며 “수요처도 경주 내 식당, 제과점, 낚시가게 등 많아서 사업은 잘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의성군은 아이스팩 재사용 사업이 한국환경공단과 행정안전부 등이 주관한 발표회 등에서 우수사례로 선정되기도 했다. 의성군 환경과 관계자는 “군 종합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자들이 아이스팩 수거와 세척 등에 수고해주셨다. 이런 부분이 우수사례로 선정될 수 있었던 것 같다”며 “올해는 (아이스팩) 수거와 교환을 장날이나 봉사센터에서 진행했었는데, 내년에는 수거함을 설치해 접근성을 더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구에서 아이스팩 재사용 사업을 가장 먼저 시작한 남구도 시민 참여가 예상보다 높은 편이라 말했다. 남구 녹색환경과 관계자는 “환경에 관해서 지자체에서 해볼 만한 사업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이미 실시하는 타시·도 지자체 사례를 참고해 대구에서는 가장 먼저 시작했다”며 “버리면 쓰레기인데 교환을 해줘서인지 주민 참여가 생각보다 더 많다. 교환 물품 구입 예산이 빨리 소진되고 있다”고 했다.
환경 전문가들은 재사용 사업 자체는 긍정적로 생각했다. 그러나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아이스팩 재활용 사업이 예산이 수반되어서 예산 문제로 인한 사업의 지속가능성이나 수거 아이스팩의 재사용 여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실제로 각 지자체는 세척 비용과 교환 물품 구매에 상당 부분 예산을 사용하고 있다. 일부 지자체의 경우 다른 기관과 협업을 통해 비용을 절약하기도 했지만, 지자체 예산이 0원에서 수 천 만 원까지 투여되는 만큼 장기 사업이 될 수 있겠느냐는 우려도 나온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은 “결국 돈 문제다. 장기적 안목 없이 다른 지자체가 하니까 일단 하고 보는 분위기가 있다”며 “물품 교환 사업을 하다가 중단해버리면 주민들에겐 재활용에 관해 더 혼란을 줄 수 있다. 주민들이 하는 재활용을 나쁘다고 할 수 없겠지만 지자체에서 이 사업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우려가 되는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최송은 대구녹색소비자연대 활동가는 “모이는 수량에 비해 지자체 내에서 재사용처를 찾기가 쉽지 않는 문제도 있는 거로 안다. 아이스팩에는 대부분 브랜드명이 찍혀있고, 지자체에는 대부분 브랜드와 관련 없는 소상공인이 많아 수거된 아이스팩 이용처도 한정적”이라면서 “아이스팩 무게가 있어 보관이나 이동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