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교협 시사 칼럼] 그래도 지구는 돈다 / 최인철

09:47

“그래도 지구는 돈다!” 갈릴레이가 종교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뒤 재판정을 나오며 했다고 전해지는 말이다. 무엇인가를 믿고 무엇을 주장하는 행위는 상이한 근거에 바탕 할 수 있다. 갈릴레이를 고발하고 유죄판결을 내린 교회와 교황은 성서에 등장하는 지구 창조 내용을 바탕으로 천동설 이외의 주장을 이단으로 규정했다. 당시 교회의 판단이 성서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 다만 분명한 것은 종교적 판단은 처음부터 자연 현상에 대한 옳고 그름의 근거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종교 재판관들은 당대에 우세하던 사고관이 성서적인 것이라 믿었고 그 믿음이 유지되기를 바랐다. 반면 갈릴레이는 과학의 영역을 신학으로부터 분리시키려 한 사람이다. 하지만 갈릴레이를 자신의 믿음을 지키기 위해 모든 것을 내던진 지사였다라고 할 수는 없다. 사실 갈릴레이는 재판정에서 지동설을 철회하였을 뿐 아니라 다시는 그러한 주장을 하지 않겠다는 각서에 서명하기도 했다. 갈릴레이의 위대함은 교회와 맞선 용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진리를 향한 그의 자세에 있다.

갈릴레이는 당시에는 파격적이었을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맹목적으로 추종한 사람이 아니었다. 갈릴레이는 지동설의 내용을 자신이 고안한 굴절 망원경을 통해 사실임을 입증한 사람이다. 자연 현상은 우리 인식 외부에 존재하는 현상이다. 때문에 우리는 그 현상을 눈과 귀를 통해 관찰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본질을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현상은 그 자체를 왜곡 없이 투명하게 노출시키지 않는다. 물이 들어있는 투명한 유리잔에 있는 젓가락은 휘어 보인다. 물론 휘어 보인다고 해서 젓가락이 휜 것이 아니다. 젓가락이 휘지 않았다는 것은 젓가락을 물 밖으로 꺼내어 확인해야 하고 다시 물이 빛의 투과율을 변화시켜 물체를 굴절되게 보이게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갈릴레이는 당시에는 파격적이었을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맹목적으로 추종한 사람이 아니었다. 갈릴레이는 지동설의 내용을 자신이 고안한 굴절 망원경을 통해 사실임을 입증한 사람이다. (사진=https://pixabay.com/)

세상에 존재하는 많은 현상이 이와 같이 그 본질을 감추거나 왜곡된 형태로 노출되어 있다. 이때 우리가 취해야 하는 태도는 그러하기에 알 수 없다고 포기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 현상 이면에 있는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우리가 취해야 하는 자세일 것이다.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통해 관찰한 천체를 통해 지구가 태양을 돌고 있다는 것을 믿게 되었다. 또한 망원경에 보이는 상들이 현상을 사실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였다. 이러한 노력은 자신이 올바르다는 것을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닌 무엇이 사실인가를 밝혀내려는 구도자로서의 자세에서 나오는 것이다.

다시 수 세기를 뛰어넘어 2021년 대한민국, 우리 모습을 살펴보자. 과연 우리는 갈릴레이가 처했던 종교재판에서 자유로운가? 과거 일부 거대 언론의 전유물이던 정보의 창출과 전달이 이제는 다양한 방식과 내용으로 곳곳에 넘쳐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는 정보의 독점을 막는다는 이점도 있지만 부정적인 요소도 넘쳐난다. 사람들은 동일한 현상에 대하여 각각 상반되는 견해를 가지고 그 이유도 제 각각이다. 미디어는 더 이상 그런 사회적 이견을 좁히는 기능을 수행하기 힘들다. 미디어도 상품과 같이 내가 원하는 정보를 전달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많은 사람이 내가 원하는 사실만을 받아들이고 원하는 정보만을 수용한다.

수없이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에서 내가 원하는 정보를 찾아내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 정보의 진위는 그리 중요한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이러한 세태는 많은 사람을 확증편향의 오류에서 벗어날 수 없게 만든다. 확증편향의 오류는 일반적인 우리와 같은 사람은 물론이고 소위 논객이라 불리는 잘 알려진 사람들에게도 어렵지 않게 관찰된다. TV나 라디오를 틀면 익숙한 얼굴들이 등장해 자신의 주장을 설파하기 위해 각종 자료를 제시하고 치밀하게 논리를 펼친다.

재미있는 것은 같은 내용의 자료와 사건이 너무 다르게 해석된다는 것이다. 이들이 제시하는 내용이 각각 자신이 만들어낸 필터로 한 번씩 걸러 구미에 맞게 재단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대중의 확증편향적 경향 확장과 미디어와 논객의 맞춤형 변화는 닭과 달걀의 문제처럼 서로 맞물려 무엇이 먼저인지 분간하기 힘들다. 물론 이러한 상황에서 갈릴레이의 망원경을 언급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일지도 모른다.

진실을 도외시한 확증편향적 오류가 가지는 심각성은 수 없는 갈릴레이들이 지금도 종교재판대에 세워져야 한다는 것에 있다. 자신과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타인에게 쉽사리 적개심을 들어내고 자신의 견해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가짜 뉴스가 진짜 뉴스가 된다. 물론 그 반대 상황도 수없이 일어나고 있다. 사실 남을 속이는 것, 그럴듯한 가짜 뉴스를 만드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은 일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으로 토론에 이기고 이러한 방식으로 자신의 견해를 입증하는 것이 무슨 도움이 된다는 것인가?

우리 모두는 벌거벗은 채로 이 세상에 왔다. 붉은색이나 파란색으로 태어난 것도 아니다. 우리는 모두 불완전한 존재들이다. 그러하기에 지금까지 쌓아온 지식만으로 믿고 있는 그 무언가가 불변의 진리라고 생각한다면 나는 심각한 착각에 빠져 있다고 자인해야 하는 것이다. 내가 맞다고 주장하기 이전에 내가 정말 맞는 것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진리는 내 안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교회가 갈릴레이를 종교재판대에 세운 그 순간에도 지구는 돌고 있었음을 명심해야 한다.

최인철 경북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