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 돋보기] 그녀는 정말 희대의 살인마였을까?

16:48

헝가리에는 ‘피의 백작부인’이라는 아주 잔혹하고 무서운 이야기가 있다. 이야기인즉슨, 바토리 에르제베트(Elizabeth Bathory의 헝가리식 이름, 1560-1614)라는 백작부인의 실제 이야기다. 그녀는 높고 거대한 성에 혼자 사는데, 새하얀 피부와 풍성한 검은 머릿결의 아주 아름다운 백작부인으로 젊음과 미모를 유지하기 위해 처녀의 피를 마시고 그 피로 목욕을 한다고 했다.

그뿐만이 아니다. 우선은 ‘미친년’이라는 전제는 기본으로 두고, 이야기가 마을을 하나 건널 때마다 잔혹함은 더해졌다. ‘마음에 안드는 하녀는 입을 바늘로 다 꿰매버린다’, ‘온몸에 꿀을 발라 벌레가 뜯어 먹도록 했다’, ‘사람을 산채로 꼬챙이에 꿰어 세어놓았다’는 식으로 말이다.

후에 실제 그녀의 재판에서 ‘카더라’ 소문을 근거로 재판에 증인으로 나온 사람들은 그녀가 최소 650명정도를 죽였다고 증언했다. 지금도 지역 읍면 단위 인구가 1,000명도 안 되는 곳이 많은데, 헝가리 변방 작은 마을에서 그것도 여자만 650명을 죽인다면 그 마을 뿐만 아니라 몇 개 마을이 송두리째 학살당하는 셈인데도 재판장은 그 증언을 인용한다.

시간이 흘러 이 잔혹한 전설은 우려먹기가 좋은지 몇 차례 소설과 영화화되기도 했다. 물론 대부분의 작품속에서 바토리는 퇴폐적이고 욕망에 사로잡힌 주인공으로 묘사되었다. 사실 바토리는 귀족이고 군인이었던 남편이 일찍 사망한, 돈 많고 권력을 가진 여성이었을 뿐이다.

그녀가 하인을 고문했던 사실도 그녀였기 때문이 아니라, 조선에서도 그랬듯 중세 유럽의 영주 정도 되면 일반적으로 행해지던 행위였다. 지금의 기준과 편견으로 바토리는 아름다운 여성이니 마음씨도 너무 비단 같이 고와 하인들을 아끼고 존중해 줄 거라고 생각하는 건 우리가 그리는 동화일 뿐이다.

당시 헝가리의 역사적 상황 역시 신교와 구교의 힘겨루기가 한창이었다. 신교와 구교의 다툼 속에서 신교를 지지했던 바토리의 가문을 꼬투리 잡고자 했던 구교의 모략이었을 수도 있음을 충분히 상상해볼 수 있다. 즉 소문만 무성하고 실체가 없는 이야기들이 엮이고 섞여서 한 여성을 미치광이이자 희대의 잔혹한 살인마귀로 만들어버린 것이다.

▲이스트반 조크(Istvan Csok, 헝가리, 1865-1961), <고문하는 바토리 백작부인>

우리의 편견은 바토리가 살던 500년 전이나 지금이나 별반 달라지지 않았다. 여성에게 던져지는 역할이 있다. “아름다워야 한다”, “여성은 남성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 “여성이 권력을 가지고 재산을 가지는 것(즉 잘나가는 것)은 불편하다”는 500년 전의 시선은 “여성은 그 돈만 받고 일해도 된다”, “여성이 나와서 버는 돈은 반찬값”, “남성 관리자의 말을 잘 들어야지”, “여성은 감정적이고 지능이 부족해서 선거에 참여할 수 없다”라는 시선으로 이어졌고, 그 이어짐의 끝에 여성은 시위대를 조직하고 거리로 나와서 “빵과 장미를!”이라고 외치게 된다. 100년 전이다.

오늘은 3.8 세계여성의 날이다. 어린이날은 어린이에게 꿈과 희망을 안겨주고, 어버이날은 부모님에게 존경과 고마움을 표현하는 날이다. 여성의 날은 여성에게 뭘 선물할 필요는 없다. 단지, 옆에 서 있는 여성노동자에게 빵과 장미 한송이면 충분하다. 바토리에게 수많은 이야기를 더할 필요 없이 그녀를 그 시대를 어쩔 수 없이 살아왔던 한 인물로 보면 되는 것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