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거래> 속 등장인물은 대부분 ‘나쁜 놈’이다. 볼수록 나쁜 놈이 있고, 알고 보니 나쁜 놈, 뼛속까지 나쁜 놈도 있다. 이들은 오로지 자신의 출세를 위해서만 움직인다. 차악은 존재해도 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폭력조직은 경찰을 끼고 부동산 개발을 하고, 그 경찰은 폭력조직의 도움을 받아 가짜 범인을 만들어낸다. 검사는 스폰서에게 향응을 제공받고 그 스폰서의 뒤를 봐준다. 기자는 접대를 받고 대가로 기사를 쓴다. 픽션(fiction)이지만 대한민국 어디선가 일어날 법한 이야기처럼 느껴진다.
검경의 범인 비호, 뇌물, 사기, 횡령 등이 망라된 비리는 낯설지 않게 벌어져 왔다. 특히 경찰 비리는 매해 국정감사 때마다 지적되는 고질적인 병폐다. 현실 속 국민 정서에서 법은 불공평하고 공권력은 부당하다. 대중의 감정 속에 검경은 부패나 부정의 원흉으로 그려진다. 이 때문에 영화의 연출이 과장되어 보이거나 어색하지 않고 사실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영화에서 대한민국은 어린이 연쇄살인사건으로 떠들썩하다. 대통령이 나서서 수사를 종용하는 지경이다. 와중에 유력 용의자는 경찰의 손에 죽는다. 경찰 수뇌부는 어떻게든 범인을 잡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강 국장(천호진)은 가짜 범인을 만들기 위해 연출자로 광역수사대 최철기 반장(황정민)을 지목한다. 최 반장은 역량은 뛰어나지만, 비(非)경찰대 출신인 탓에 승진 인사에 번번이 고배를 마신다. 이번에도 승진 인사에서 밀린데다, 매제의 비리와 팀원의 뇌물수수 등으로 내부 감찰까지 받게 되어 직위해제 된다.
경찰 수뇌부 입장에선 최 반장이 여차하면 미련 없이 내칠 수 있는 비주류이기 때문에 범인 조작사건을 책임지기에 적격이다. 이런 상황에서 강 국장은 최 반장에게 ‘첫 번째 부당거래’를 제안한다. 어린이 연쇄살인사건을 해결하면 감찰을 무마하고 승진시켜준다는 조건이다. 궁지에 내몰린 최 반장은 경찰 수뇌부의 속셈을 알면서도 거래를 수락할 수밖에 없다.
‘두 번째 부당거래’는 최 반장과 해동건설 장석구 회장(유해진) 사이에서 벌어진다. 최 반장은 장 회장의 뒤를 봐주겠다는 조건으로 미성년자 성폭행 전과가 있는 이동석(우정국)이 자백하도록 만들어달라고 한다. 이동석은 이번 사건에서 용의자로 특정되어 조사를 받았으나, 혐의점이 없어 풀려났다. 그는 과거 범죄의 무게보다 가벼운 형량을 살고, 지적 장애를 가진 부인과 살고 있다. 최 반장은 뒤탈이 없을 것으로 보고 이동석을 범인으로 몬다. 장 회장은 이동석에게 폭력을 휘두르고 현금 1억 원과 심신장애 처벌 감경 등 회유를 통해 범인이 될 것을 제안한다. ‘세 번째 부당거래’인 셈이다.
‘네 번째 부당거래’는 최 반장과 주양 검사(류승범)가 한다. 수사 과정에서 주 검사는 장 회장과 대척점에 있는 김 회장(조영진)과 스폰서의 관계를 맺고 있는 게 들통 날 뻔 한다. 곤경에 처한 그는 최 반장에게 거래를 제안하지만 주 검사의 약점을 쥔 최 반장은 그를 무시하고 모욕한다. 주 검사는 복수심에 언론과 ‘다섯 번째 부당거래’를 한다. 그는 김 기자(오정세)에게 성접대하고 최 반장이 체포한 이동석이 진범이 아닐 수 있다는 기사를 써 달라 한다.
위기에 처한 최 반장은 장 회장을 통해 이동석을 살해하고서는 자살로 꾸민다. 이에 주 검사는 최 반장의 주변을 탈탈 턴다. 결국 최 반장은 주 검사가 자주 가는 요정에서 벌거벗은 채 그의 앞에 무릎을 꿇는다. 모든 사실을 털어놓고 가족과 팀원들의 비리를 눈감아달라고 빈다. 얽히고설킨 부당거래의 결말은 파국에 치닫고, 반전이 일어난다.
영화 속에서 가장 나쁜 놈은 누구일까? 승진을 위해 사건을 조작하고 동료 대호(마동석)을 살해한 최 반장, 오락실을 털고 뒷돈을 받는 대호 패거리, 공권력을 악용해 비리를 저지르는 주 검사, 온갖 더러운 일을 벌이는 장 회장, 성접대를 받는 기자, 뒤에서 공작을 벌이는 경찰 수뇌부. 제 할 일은 하지 않고 30만원 타령만 하는 국선 변호사. 모두 경중을 따지기 어렵다. 영화는 정의 구현으로 카타르시스를 주지 않는다. 검경이 공공성을 잃었을 때 귀결되는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줄 뿐이다.
<부당거래>는 경찰에서 가장 싫어하는 영화로 꼽혔다. 경찰교육원은 2014년 전국 경찰관 6,1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부당거래>가 18%로 최악의 경찰 영화 1위에 올랐다. 경찰 광역수사대장이 검사 앞에서 속옷만 입고비는 장면은 ‘가장 보기 싫은 장면’으로 선정됐다. <부당거래>가 부패 경찰을 다룬 <투캅스(11%)>와 <7번방의 선물(8%)>보다 득표율이 높은 이유는 자존심이 상해서다. 경찰교육원은 “부당거래가 최악의 영화로 선정된 것은 경찰이 검사 앞에서 속옷 차림으로 잘못을 비는 모습이 나오는 등 실제 현실과 너무 동떨어진 상황을 묘사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대구에서 경찰의 부당거래가 드러났다. 간장과 된장 등 장류를 제작, 판매하는 삼화식품에서 각종 비리 의혹이 터져 나와 경찰 수사가 진행되던 도중 간부 등 경찰 4명이 수사 정보를 유출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재판이 넘겨졌다. 비단 대구에서 뿐이 아니다. 6년 전에는 여성을 감금하고 성매매를 시킨 조직폭력배에게 편의를 봐준 경찰관이 징계를 받았다. 2011년에는 수십 건의 미제 사건을 피의자들에게 덮어씌운 경찰이 적발됐다. 2010년에는 마약 수사 경찰관이 마약을 팔고 수배자로부터 뇌물을 받아 사건을 무마해준 사실이 드러났다. 희대의 사기꾼으로 알려진 조희팔 사건에서는 그와 연루된 검찰과 경찰이 그의 뒤를 봐줬다. 수사 정보를 흘리고, 달아날 수 있도록 도왔다.
검경은 시민이 일상에서 마주치는 국가권력의 표상이다. 검찰청법 제4조에서 ‘검사는 공익의 대표자로 그 직무를 수행할 때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며 주어진 권한을 남용하여서는 아니된다’고 적혀 있다. 경찰관직무집행법 제1조에서 ‘경찰의 직권은 직무수행에 필요한 최소한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이를 남용하여서는 아니된다’고 명시되어 있다. 자성은 결여되어 있다. 비리가 터질 때 그들의 집단의식은 눈을 감고 귀를 닫는다. 국민들의 눈에 비친 그들의 민낯은 정의의 수호자나 법읜 집행자가 아니다. 현실도 영화만큼 신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