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동의보감’이 세계기록유산인 이유, ‘공공의료’ /이상호

15:19

[편집자 주=이상호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이 SNS에 올린 글을 필자 동의를 얻어 ‘뉴스민’에 게재합니다.]

한국사람 치고 <동의보감>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한국인들은 대부분의 한약재나 음식에 대한 의학적 권위는 <동의보감>을 통해 얻고 있으며, <동의보감>에 따라 건강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도 많다. 실제 건강을 생각한 음식 섭취의 가장 중요한 기준이 <동의보감>이기도 하다. 또한 <동의보감>을 쓴 허준은 의성醫聖으로까지 추앙받으면서, 한국 사회에서도 의사다운 의사가 있었다는 기억을 자랑삼아 갖게 만드는 것도 <동의보감>이 더욱 권위를 갖게 되는 이유가 되었다. 그래서 한국 사람 입장에서 <동의보감>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는 데에 논리가 빈약할 것이라고 생각할 사람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동의보감>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할 때, 그 논리를 만드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았다고 한다. 세계기록유산의 등재 신청서는 “그 기록물이 왜 세계인들이 함께 기억하고 보존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 한국 사람들이 그것을 아무리 중요하게 생각하고, 한국 내에서 문화적으로 그것이 국보급 이상의 중요성을 갖는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왜 꼭 한국을 넘어 세계인 모두가 보존하고 기억해야 하는지?”를 설득해야 한다. 그래서 특정 기록물이 세계사적으로 기억해야 할 인물이나 사건, 장소를 기억하게 하는지? 아니면 세계적인 학문과 사상, 기술, 문화의 발전사를 대변하는 것인지? 등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과정이 세계기록유산 등재신청서를 작성하는 과정이다.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동의보감 [사진=유네스코 홈페이지]

2009년 <동의보감>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자, 당시 중국의 반발이 적지 않았다. 중국은 이 소식에 충격을 받고 2년 뒤인 2011년에 <동의보감>과 유사한 <본초강목>과 <황제내경>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시켰으며, 당시 <동의보감>은 <본초강목>의 아류에 불과하다는 논리를 펴기도 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에서 <동의보감>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시켰던 논리는 중국의 질투와는 상관없었으며, 그 자체로 충분히 등재될 수 있는 논리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동의보감>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의 이유는 우리가 알고 있는 <동의보감>의 가치와는 “또 다른 가치”를 발견하게 한다. 등재신청서에는 3가지 정도의 논리를 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하게 받아들여졌던 논리는 바로 <동의보감>이 “공공의료와 예방의학의 이상을 선포한 국가의 혁신적인 지시에 따라 편찬된 책”이라는 관점이다. 국가가 제공하는 공공의료 서비스의 개념이 서양의 경우 19세기가 넘어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면, <동의보감>은 그것이 벌써 17세기부터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책이라는 점이었다. 이를 통해 세계는 공공의료 서비스의 개념을 고민했던 시기가 19세기가 아닌 17세기로 200년 정도 당기게 되었다.

국가가 나서서 이 책을 편찬했던 이유는 일반 백성들의 건강과 안녕에 대한 책임감이었다는 의미이다. 그 구체적인 방법은 누구보다 오랜 임상 경험을 가진 허준으로 하여금 ‘의서’를 편찬하게 해서 “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의학적 지식을 가지고 병을 예방하고 공공의료의 1차적 담당자가 될 수 있도록 하려 했던 것”이었다. 글만 읽을 수 있으면 백성들에게 약을 처방하고 음식을 통해 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려 했던 국가 정책이 <동의보감>을 통해 실현되었고, 세계는 한국이 이러한 ‘공공의료 정책’을 국가적으로 실현하려 했던 노력을 인정하여 이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했던 것이다.

국가의 공공의료 정책은 늘 의료 서비스의 사각지대를 없애고, 백성들이 쉽게 의료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맞추어져 있다. 한국의 경우 국가적 차원에서 이를 실현하려 했던 노력은 이미 400년이 훨씬 넘었으며, 그 핵심에는 <동의보감>이 있었다. 개인의 병을 이기려는 노력은 인류가 시작되면서 지속하여 왔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공공의료라는 개념을 만들고 이를 정책화하려 했던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의 핵심은 그 이전에 비해 의료 서비스가 가능한 사람을 더 많이 만들어 내고, 그러한 인력들이 국가 전체에 고르게 배치되도록 하는 데 있었다. 조선 사회에서 글을 아는 양반들이 의사가 되지는 않았지만, 그들 스스로 알게 모르게 <동의보감>을 통해 공공의료의 1차적 담당자가 되었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공공의료의 가치가 그 어느 시기보다 높아진 지금, K방역의 핵심이 공공의료 시스템에서 작동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지금, 그래서 여기에 때맞추어 공공의료 서비스에 종사할 사람들을 더 늘이려는 국가적 정책이 그 방법은 차치하고서라도 방향은 맞는 게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