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2016년부터 대구시 주최, 대구시민센터 주관으로 ‘대구청년NGO활동확산사업’이 진행 중입니다. NGO(비정부기구)를 통해 청년들의 공익 활동 경험을 증진시키고, 청년들의 공익 활동이 NGO에는 새로운 활력이 되고자 합니다. 2019년에는 20개 단체와 20명의 청년이 만나 3월부터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뉴스민>은 대구시민센터가 진행한 청년NGO 활동가 인터뷰를 매주 수요일 싣습니다. 이 글은 ‘청년NGO활동가확산사업’ 블로그(http://dgbingo.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자기소개 부탁드린다.
=대구피플퍼스트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지수라고 한다.
피플퍼스트는 어떤 단체인가?
=발달장애인 자조단체다. 보통 시민단체를 보면 비장애인이 근무하는데, 피플퍼스트는 발달장애인 상근자 두 명이 함께 일하고 있다. 나는 그들을 돕는 조력자다. 당사자들과 도와가며 일한다. 발달장애인들과 함께 활동하다 보니, 조력자가 되기도 하고 동료 입장이 되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고민이 많다.
어떤 부분이 고민인가?
=조력하다 보면 틀린 부분이나 옳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알려드려야 하는 상황에서 알려드리면 상처를 받기도 한다. 어떻게 전달하고, 또 어떻게 풀어드려야 할까 고민도 든다. 때로는 그 분들도 고민을 나누는데 그럴 때 직장동료로 말을 해드려야 하는지 아니면 동료가 아닌 다른 입장에서 말을 해야 하는지 등 여러 고민이 있다.
상처를 받기도 하는가?
=순수하고 감정표현이 솔직한 편이라 상처를 쉽게 받기도 한다. 하지만 그만큼 금방 풀어지기도 한다. 함께 일하면 여러모로 다사다난하다.
청년NGO활동확산사업에 참여하기 전에는 어떤 활동을 했는가?
=사회복지학을 전공해서 봉사 활동을 많이 했다. 장애인시설 봉사도 7~8년 정도 했고, 장애인에 대해서 알리는 활동도 했다. 지금 일하는 단체 4층에 장애인 야간학교가 있다. 이 야간학교에서 2년 정도 활동을 했다. 지금도 피플퍼스트와 이 활동을 같이하고 있다. 작년엔 발달장애인들이 매주 이 시간에 무슨 활동을 할지 스스로 정하는 자조모임에서도 1년 활동했다.
원래 장애인에 관심이 많았는가?
=그렇다. 지적장애인과 자폐성 장애인에 관심을 가지다 보니까 발달장애인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시설 봉사를 다녀왔는데 적성이 잘 맞았다. 성인인 지적장애인 상대를 많이 했었다. 어른인데 아이 같은 순수함이 좋았고, 같이 있으면 편하기도 했다. 오랜 시간 함께 하다 보니 관심이 갖게 됐고, 익숙하고 편한 부분이 제일 컸던 것 같다.
자조모임에는 어떤 모임이 있는지 궁금하다.
=대구에는 대구피플퍼스트의 PF자조모임 외에 레인보우자조모임, 우리자조모임, HBM자조모임이 있다. 보통 10명 내외로 활동을 한다. 자조모임에서 그 분들이 스스로 회의를 한다. 몇 월 몇째 주에 어떤 활동을 할지, 교통, 어디에 갈지, 돈은 얼마나 들지, 조를 어떻게 나눠서 활동할지 회의한다. 주로 문화 활동을 많이 하고 배우는 활동도 한다. 스스로 정하고 스스로 활동하는 것이 바로 이들의 자조모임이다.
어떻게 청년NGO활동가로 참여하게 되었는가?
=올해 졸업했다. 바로 취업을 할까 고민하다 집에서 ‘굳이 급하게 취업을 할 필요가 있냐, 급하게 취업할 생각하지 말고 진짜 하고 싶은 거 있으면 하라’고 하셨다. 그때 마침 이 사업에 대해 들었다. 지원해보자고 생각해서 갔는데 마침 이 단체가 있었다. 기존 피플퍼스트와 친분은 없었는데 단체가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피플퍼스트의 분위기는 어떤가?
=‘왁자지껄’하다는 표현이 맞는 것 같다. 발달장애인분들이 굉장히 UP될 때도 많고 DOWN될 때도 많은데 보통 왁자지껄하고 편하다. 그리고 진짜 편하게 잘 대해 주신다. 바로 옆에 장애인지역공동체도 있는데 항상 편하게 잘 챙겨주신다.
활동하면서 배운 점은 무엇인가?
=모든 활동이 처음이라 모든 활동에 배움이 있는 것 같다. 특히 많이 배운 것은, 발달장애인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이런 상황에선 이렇게, 저런 상황에서 저렇게 하는 것을 배운다. 발달장애인을 접하지 않은 분들은 낯설 수도 있는데, 봉사자로 접하다가 직원으로 접하다 보니 전문적으로 배운 것이 많다. 봉사자일 땐, 무조건 ‘잘 하셨어요~!’ 하는 분위기라면 직원일 땐, 아닌 건 아니라고, 틀린 건 틀리다고 이야기 하는 부분들도 있다.
지금까지 활동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활동이 있는가?
=4월 19일, 20일 서울 출장을 다녀왔다. 혹시 뉴스 봤는가? ‘장애인 단체들 광화문 점령해서 시민들 오도 가도 못하게 했다’는 뉴스, 그게 바로 우리였다. 20일이 장애인의 날이었는데, 우리는 장애인 차별 철폐의 날이라고 부른다. 전국에 있는 장애인 단체, 장애 당사자 활동가들이 모여서 장애인 차별 철폐 및 권리보장을 위해 투쟁하는 것이었다. 커다란 현수막 들고 다니고, 옆에 경찰들도 쫙 서 있고, 가다가 멈춰서 집회하는 활동을 이틀간 진행했다. 인권운동이잖나. 뉴스로 접할 때보다 직접 활동하면서 인권감수성을 키울 수 있었다.
어떤 것에 대한 투쟁이었는가?
=장애등급이 15개 정도 있는데 나라에서 폐지한다고 했다. 말로만 폐지가 아니라 예산이 반영된 진짜 장애등급제 폐지 즉,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라 제대로 된 지원을 해달라는 의미였다. 그리고 발달장애인에게 읽기 쉬운 자료를 제공하라, 발달장애인에게 최저임금 보장하라 등의 요구였다.
‘광화문 점령’이란 표현이 마음에 걸릴 것 같다.
=진짜 기사가 그렇게 났다. 댓글을 봤는데 욕을 진짜 많이 먹고 있었다. 내용은 ‘장애인들 이해 안 간다, 왜 관련 없는 무고한 시민들에게 피해를 주냐, 금요일 그 시간에 광화문 차도 얼마나 많고, 시민도 얼마나 많은데 이러느냐, 오히려 정떨어진다.’ 이런 내용이 많았다. 비하 댓글도 정말 많았다. 그 분들 입장에서 보면 짜증이 날 수 있다고 생각도 하지만, 이렇게 안 하면 몰라주기 때문에 그리고 장애인의 정당한 권리를 위해 투쟁하는 거라 생각한다.
속상하진 않았나?
=기분이 오묘했다. ‘왜 저렇게까지 욕하며 이해 해주지 않을까’ 생각하다가도, 내가 이쪽 활동을 하지 않았다면 저 시민들 입장에서 똑같이 생각했을 수 있겠다 싶었다. 하지만 이러한 투쟁을 해야만 했던 장애인의 입장을 알아주기를 바란다.
피플퍼스트에서 역할이 궁금하다.
=기자회견을 나가면 당사자들이 직접 발언한다. 발언문 만드는 것, 수정도 하고, 발언할 때, 실수 없이 조력하기도 한다. 그리고 직접 강의를 나가기도 하는데 PPT를 같이 만들기도 한다. 당사자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어려운 단어에 대해 설명해드리기도 한다. 나의 역할은 발달장애당사자들의 조력자라 할 수 있다.
대구청년NGO활동확산사업에 참여하고 나서 변화된 부분이 있는가?
=크게 바뀐 것은 없다. 인권운동에 대한 거부감이 크게 없었는데, 더 사라진 것 같다. 몇 년 전까지 시설에서 근무하려고 했다. 2년 전 우연히 집회에 참여한 적이 있었다. 시설 철폐를 주장하는 집회였는데, 그때 이미 장애인 시설과 자립 사이에서 딜레마가 왔다갔다. 이번에 활동하면서 기자회견도 많이 나가고, 집회, 농성도 많이 하다 보니까 더 긍정적으로 변한 것 같다.
2년 전 집회는 어떻게 참여하게 되었나?
=야간학교 교사할 때, 교사활동 초기에 수업하러 갔는데 수업이 없고, 농성하러 간다고 했다. 나는 집에 가면 되냐고 물어봤더니 온 김에 같이 가자고 해서 얼떨결에 같이 갔다가 밝을 때 가서 어두울 때 돌아왔다. 내가 한 것은 별로 없었는데, 본 것만으로 충격이었다. 어쩌면 그때 우연히 따라갔던 그 기회로 인해 지금의 내가 있지 않았나 싶다.
8개월 활동 후에 계획하는 바가 있는가?
=혹시 취직을 하게 되면 이런 쪽으로 취직해도 괜찮겠다는 생각을 했다. 진로 고민하면서 이 쪽 분야를 알아보면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시설과 장애인 인권단체는 어떻게 다른가?
=시설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매일 매일 밥 먹고, 활동하면서 집처럼 사는 곳이다. 장애인 인권 단체는 그 시설에 나와서 자립하라고 이야기 한다. 자립하면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시설은 비장애인과 접촉이 거의 없고, 폐쇄적으로 운영된다. 장애인 인권 단체는 사회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차별 없이 생활하고 적응해보자는 것이어서 굉장히 다르다. 자립한 장애인을 많이 접했는데, 지금의 삶에 만족하고 있는 것 같았다. 시설에서 나와 자립한 장애인에게 ‘좋으세요?’ 물어본 적이 있다. ‘정말 행복하다. 사람답게 사는 것 같다’라는 대답을 들었다.
활동은 재미있는가?
=봉사자로 참여 못하던 부분에서 활동하고 있고, 제한 없이 장애인들의 인권과 삶을 위해 다양하게 활동할 수 있어서 재미있다.
남은 기간 각오가 있다면?
=맡은 일에 대해서 실수 없이 마무리할 수 있으면 좋겠다. 단체에서 실수할까봐 고민 진짜 많이 한다. 결재할 때도 0 하나 더 붙이면 어떡하지 생각하고. 실수만 안 했으면 좋겠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더 많은 분이 우리 단체와 발달장애인을 알아주면 좋겠다. 장애인이라고 동정하지 말고 거부감 가지지 말아주셨으면 좋겠다. 틀리다, 다르다를 떠나 그저 같은 사람이라고 인식하고 편하게 다가가 주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