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형 일자리’ 토론회 열려…문성현, “민주노총 출신 참여 큰 자산”

8일, '사회통합형 대구 일자리 모델' 토론회 노사민정 참여
“노사 대립 해소와 노동자 간 격차 해소”로 의견 모여

20:40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대구 노·사·민·정이 모여 ‘대구형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사진=대구시)

8일 오후 3시 30분 대구시, 대구사회연대노동복지포럼, 대구경북연구원 미래전략아카데미는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회통합형 대구 일자리 토론회’를 열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모든 도시에 적용될 수는 없다. 지역의 중소중견기업 경쟁력을 높여 일자리가 늘어나는 새로운 모델을 만들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조연설에 나선 문성현 경사노위 위원장은 민주노총 출신 인사가 참여한 점을 강조했다. 문 위원장은 “민주노총이 조직적으로 지역 노사민정에 참여하지 않고 있지만, 민주노총 출신 활동가들이 하겠다고 나선 곳이 대구다. 대단히 큰 자산”이라며 “정부도 이래AMS(주) 사례를 관심 있게 보고 있다. 앞으로 전폭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거다. 대구의 상생형 일자리는 꼭 성공할 거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문 위원장이 강조한 민주노총 출신 활동가들은 대구사회연대노동복지포럼(대구노동포럼)을 지칭한다. 노동포럼 조명래(전 금속노조 정책실장), 권택흥(전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장), 채장식(현 더불어민주당 대구 북구의원, 전 금속노조 대구지부장), 김득수(전 금속노조 대구텍지회장) 공동대표는 모두 민주노총과 금속노조 간부를 지냈다.

대구시는 달성공단 자동차 부품 업체인 이래AMS(주) 노사 사례를 ‘사회통합형 대구 일자리 모델‘ 사례로 제시했다. 안중곤 대구시 일자리투자국장은 “이래AMS(주) 사례는 노사 상생으로 자금 지원이 이루어졌고, 임직원은 물론 협력사 300개의 경영 안정도 이루었다”며 “노사 대립은 해소하고, 원·하청 격차 완화, 정규직과 비정규직 격차 개선으로 지역 기업은 경쟁력을 확보하고 외부 기업은 대구로 유치하는 것이 사회통합형 일자리 모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 기사 : ‘이래AMS’ 노사상생 선언문, 문성현 위원장·권영진 시장에 전달)

▲왼쪽부터 이창재 대구경영자총협회 상임부회장, 김기웅 한국노총대구본부 조직정책본부장, 이덕재 경제사회노동위원, 김동식 대구시의원, 김영철 계명대학교 교수, 박명준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안중곤 대구시 일자리투자국장, 조명래 대구사회연대노동복지포럼 공동대표

조명래 대구노동포럼 공동대표는 “지금까지 노동자에 대한 투자가 없었다. 숙련 노동자에 대한 투자는 곧 기업의 경쟁력”이라며 “원청 및 1차 부품 기업이 2~4차 하청업체에 직무 훈련, 기술 개발 지원을 하면서 착취형 원하청 관계를 상생형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4년 대구시와 노사정대타협 선언한 한국노총 대구본부는 대구시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했다. 김기웅 한국노총 대구본부 조직정책본부장은 “당시 노동자로서 권리를 포기하는 정도의 희생이었다. 내부의 강한 반대도 있었지만 지역 경제를 살려야한다는 마음으로 참여했다”며 “이후 (노사 상생보다) 노동계 비판이 가득하다. 진정성을 갖고 대구시가 나선다면 노동계도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창재 대구경영자총협회 상임부회장은 “대구는 임금이 낮고 근로시간이 가장 길다. 저희도 개선 노력을 하고 있다”며 “원청 고임금자 임금을 동결해 하청 임금을 인상하고, 정부가 1차 협력업체나 중소기업에 기술을 지원하는 안전망을 만들면 어떨까 생각이 든다”고 제안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박명준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안중곤 대구시 일자리투자국장, 조명래 대구사회연대노동복지포럼 공동대표가 주제 발표를 맡았고, 이창재 대구경영자총협회 상임부회장, 김기웅 한국노총대구본부 조직정책본부장, 김동식 대구시의원, 이덕재 경제사회노동위원이 토론자로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