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지방선거 경북민심번역기] 1239, 172, 64

6회 선거 동안 정당별 단체장-도·시·군의원 출마자는
민주당 172명, 한국당 1,239명, 진보정당 64명
한국당 월등히 많은 후보, 월등히 많은 당선자

21:50

1239, 172, 64

1995년부터 2014년까지 치러진 여섯 차례 지방선거에서 자유한국당이 경북 지역에 낸 후보는 1,239명(비례대표 후보 제외), 더불어민주당 후보 172명, 진보정당 후보는 64명이다. 압도적으로 한국당이 많은 후보를 냈다. 한국당과 비교해보면 민주당은 13.9%, 진보정당은 5.2% 수준이었다.

각 정당별 후보 집계를 할 때, 더불어민주당은 민주당(1995년), 새정치국민회의(1998년), 새천년민주당(2002년), 열린우리당(2006년), 민주당(2010년), 새정치민주연합(2014년) 후보를 집계했다. 자유한국당은 민주자유당(1995년), 한나라당(1998년~2010년), 새누리당(2014년)과 자유민주연합(1995년~2002년), 한국미래연합(2002년) 등 후에 한나라당과 합당하는 정당도 함께 집계했다.

진보정당은 민주노동당(2002년~2010년), 국민참여당(2010년), 진보신당(2010년), 통합진보당(2014년), 노동당(2014년), 녹색당(2014년), 정의당(2014년) 후보를 집계했다. 그밖에 1998년 국민신당, 2002년 민주국민당, 2010년 국제녹색당, 친박연합, 미래연합, 2014년 새정치당은 모두 기타정당으로 집계해서 민주당-한국당-진보정당 어디에도 포함하지 않았다.

민주당 후보 2006년 4회 선거서 78명 출마 최고치
한국당 후보 4회 선거 이후 꾸준히 300명 이상 유지
무소속 1회 선거 1천 명 넘었지만, 6회 320명까지 줄어

민주당 후보는 2006년 4회 선거에서 78명이 나오면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에 2010년 5회 선거 9명, 2014년 6회 선거 11명으로 급락했다. 민주당 후보가 가장 많이 나선 2006년은 노무현 참여정부 집권기이기도 했고, 기초의원 선거에서도 정당공천제를 실시해서 정당 후보가 급증했다. 78명 중 기초의원 후보만 59명이다.

자유한국당은 후보가 꾸준하다. 우선 기초의원 정당공천제를 실시하지 않았던 1~3회 선거에선 109명(1회), 106명(2회), 84명(3회)이 출마했다. 4회 선거부터는 기초의원 후보가 200명가량 급증하면서 314명(4회), 312명(5회), 314명(6회)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진보정당은 3회 선거에서 4명을 내는 데 그쳤지만, 4회 선거에서 26명을 후보로 냈고, 5회 18명, 6회 16명으로 감소했다. 무소속 후보는 1회 선거에서 1천 명이 넘었지만, 꾸준히 감소해서 지난 6회 선거에선 320명이 출마했다. 기초의원 정당공천제가 실시되는 등 정당 영향력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생긴 변화다.

민주당, 1~3회 지방선거 도지사 후보 못 내고,
23개 시·군 중 7개 시·군 단체장 후보도 없어
한국당 기초단체장 후보만 143명, 당선자 100명

선거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주당은 1~3회 지방선거에선 경북도지사 후보도 내지 못했다. 23개 시·군 단체장에는 드문드문 후보가 출마하긴 했지만, 2, 4회 선거에서 7개 시·군에 후보를 낸 것이 최고치였다. 2010년 5회 선거에는 포항시장 후보를 내고 다른 지역에는 한 곳도 내지 못하면서 최저치를 찍었다.

6회 선거 동안 민주당 후보로 단체장 선거에 나선 사람은 25명이다. 23개 경북 시·군 중 16곳에 출마했고, 7곳(군위, 문경, 봉화, 영덕, 영주, 의성, 청도) 주민들은 지방선거 6회 동안 민주당 단체장 후보를 접하지 못했다. 후보는 25명 밖에 없었지만, 1회(포항), 2회(울진) 선거에선 각 1명씩 단체장 당선자를 내기도 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단체장 후보로 143명을 내놨는데, 경북 시·군 단체장에 도전한 전체 430명 중 33.3%에 해당하는 비중이다. 143명 중 100명(69.9%)이 단체장에 당선됐다. 전국에서 한국당 기초단체장 후보 당선율이 51.2%인 것에 비하면 18%가량 높은 수준이다.

경북은 전국 대비 무소속 단체장 후보가 많이 나온 축에 든다. 전체 후보 중 57.4%에 해당하는 247명이 무소속 후보였는데 전국 기초단체장 후보 중 40.6%가 무소속 후보인 것과 비교하면 약 16% 가량 무소속 비중이 높다. 한국당 공천에 탈락한 후보들 다수가 무소속으로 본선에 나섰기 때문이다. 진보정당은 8명(1.9%)이 경북 시·군 단체장 후보로 나왔지만 당선자는 없었다.

광역·기초의원 한국당 독점 구조 완연
가장 큰 한국당 경쟁자는 ‘무소속’

광역의원(도의원) 선거로 넘어가면 한국당의 독점률이 더 높아진다. 일단 경쟁자가 별로 없다. 6회 선거 동안 출마한 경북도의원 후보는 838명인데 이 중 44.3%에 해당하는 371명이 한국당 소속이다. 한국당에 대적할 만큼 후보를 낸 정당은 아이러니하게도 무소속이다. 무소속 후보도 한국당과 동일한 371명이다. 반면 민주당(73명), 진보정당(10명), 그밖에 기타정당(13명)이 내놓은 후보는 다 합쳐도 96명(11.5%)에 불과하다. 한국당의 가장 큰 적수가 무소속이었다는 의미다.

한국당 후보 371명 중 287명이 당선했다. 당선율만 놓고 보면 77.4%에 달한다. 전국에서 한국당 광역의원 당선율이 55.2%인 것에 비하면 20% 이상 높다. 무소속도 동일하게 371명이 나섰지만 55명(14.8%)만 당선된 것과 비교하면 큰 차이다. 소선거구제이고 다른 선거에 비해 관심도가 낮아서 정당 영향력이 더 크게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73명이 후보로 나섰지만, 1995년 1회 선거에서 경북 영양군 민주당 도의원 후보로 나선 류상기(당시 58세) 씨가 당선된 후 한 번도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 류 씨는 2회 선거에서도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나섰지만 낙선했다.

중대선거구제로 실시되는 기초의원(시·군의원) 선거에서도 한국당 독점 구조가 단단한 건 마찬가지다. 한국당은 정당공천이 실시된 4회 선거부터 기초의원 후보로 717명을 내놨는데 이중 530명(73.9%)이 당선했다. 광역의원보다 3.5% 적은 수준이다. 무소속은 1,029명이 나서 188명(18.3%) 당선했다.

민주당은 기초의원 선거에 71명을 후보로 냈고 8명이 당선됐다. 진보정당은 42명을 후보로 내서 8명이 당선했다. 진보정당이 민주당보다 후보를 적게 냈음에도 당선자가 같은 것은 노조나 농민회 등 탄탄한 조직력을 기반으로 움직이는 진보정당에 비해 민주당이 지역 기반이 취약함을 보여준다.

3회부터 실시된 광역의원 비례대표, 4회부터 실시된 기초의원 비례대표 당선자를 더하면 민주당은 23명(지역구 기초의원 8+ 지역구 광역의원 1+광역 비례 5+기초 비례 9), 진보정당은 11명(지역구 기초의원 8+광역 비례 1+기초 비례 2)이다. 민주당이 진보정당보다 비례 당선자가 많은 것은 지역 기반보다 거대 정당으로서 ‘이름값’ 효과를 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6.13 지방선거 큰 차이 없어
한국당 예비후보 월등히 많아
민주당 8개 시·군 단체장 후보 無

오는 6.13 지방선거도 크게 다른 모습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 20일 현재 기준으로 한국당, 민주당, 정의당은 각 도지사 후보 1명씩을 공천 확정한 상태지만, 기초단체장 후보군은 한국당이 압도적으로 많다.

등록된 예비후보를 기준으로 민주당은 23개 시·군 단체장 후보로 26명이 등록했지만, 김천, 안동, 상주, 예천, 고령, 군위, 의성, 청송 등 8곳에는 현재까지 등록한 후보가 없다. 반면 한국당은 62명이 예비후보로 등록하고 공천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도의원 선거로 가면 현재 전체 후보는 135명인데 한국당에 공천을 신청한 후보가 100명으로 압도적이다. 민주당은 15명에 그쳤고, 무소속 14명, 바른미래당 5명, 정의당이 1명이다. 시·군의원 선거도 전체 후보 532명 중 한국당 후보만 335명이고 민주당은 63명, 진보정당(정의당-민중당-녹색당)은 10명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