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준표 국민의힘 대통령 예비후보는 대구를 ‘혁신’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시민사회단체 의견은 다르다. 대구참여연대는 홍 후보의 시장 퇴임 이후 시정 정상화를 요구하면서 “홍 전 시장 재임 기간은 ‘대구혁신’이 아니라 ‘대구퇴행’의 시간이었다”고 비판했다.
16일 대구참여연대는 보도자료를 통해 ▲ 무너진 민생 회복과 재정정책 전환▲ 제2대구의료원 재추진 등 공공의료 강화 ▲ 박정희 동상 철거 등 퇴행적 상징물 정리 ▲ 안동댐 취수원 이전 중단, 수돗물 안전 확보 ▲ 대구·경북행정통합 졸속 추진 중단 ▲ 시민참여제도 복원과 민관협치 회복 ▲ 언론·시민사회 대상 고소고발 취하 ▲ 측근 위주 특혜 인사 및 알박기 인사 철회 ▲ 졸속 통폐합된 공공기관의 정상화 ▲ 초고령사회 대응 통합돌봄체계 마련 등 10가지 과제를 제시하면서 ‘홍준표 시정’으로 퇴행한 대구시정을 정상으로 돌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홍 후보가 ‘대구미래 50년 먹거리’라는 슬로건과 함께 추진을 약속했던 혁신 과제를 무성의하게 방치하고, 대통령 출마를 이유로 임기를 마치지 않은 점을 강하게 규탄했다. 특히 3년 가까운 재임기간 동안 시정을 ‘혁신’이 아닌 ‘퇴행’으로 몰아넣었다는 평가를 내리며, 이제는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시장 권한대행을 맡은 김정기 행정부시장을 향해서 “홍준표의 권한대행이 아니라 대구시정의 책임자”임을 지적하면서, 홍 후보의 흔적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각계각층의 의견을 반영해 새로운 시정을 설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구시의회를 향해서도 그간 시의회가 견제보다는 묵인에 가까운 역할을 했다고 질타했다. 시정 감시는커녕 같은 당 시장에게 순응했던 태도가 결과적으로 시의 자율성과 민주적 운영을 훼손시켰다는 평가다. 이들은 시의회가 ‘시정 정상화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전문가 및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구조 속에서 시정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3년 가까이 되는 홍 전 시장 재임 기간은 ‘대구혁신’의 시간이 아니라 ‘대구퇴 행’의 시간이었다는 점에서 보면 사퇴는 오히려 ‘대구시정 정상화’의 계기”라며 “향후 대구개혁의 기회라는 점에서 다행”이라고 덧붙였다.
이상원 기자
solee412@newsm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