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박영동 달성군의원(더불어민주당, 유가·현풍읍·구지면)은 달성군의회 제318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공공 반려동물 놀이터 조성을 건의했다.
박영동 달성군의원은 “반려동물과 보호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공 반려동물 놀이터의 필요하다. 가족의 일원으로 자리잡은 반려동물 양육 인구 비율은 2010년 17.4%에서 2023년 30% 수준(약 1,460만 명)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늘어나는 데 비해 공공 반려동물 시설은 부족한 실정”이라며 “반려견 보호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반려동물 시설은 전국적으로 123개소에 불과하다. 대구는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공 반려동물 놀이터가 달서구 1곳으로, 달성군은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민간 반려동물 놀이터 이용료는 보호자 1인과 반려견 1마리를 기준으로 평균 1만 2,000원 정도”라며 “공공 반려동물 놀이터는 무료거나 평균 2,000원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해 군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충주시가 기피시설로 인식되던 하수처리장을 반려견 놀이터와 생태공원으로, 순천시가 국가정원 내 반려견 놀이터 시설을 통해 반려동물 친화 관광 프로그램을 도입한 사실도 언급하면서 “지역 내 관광자원과 연계한다면 효율적인 반려동물 친화공간 조성에 도움이 된다. 문화체육관광부도 반려동물 친화 관광도시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관련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지역 관광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박 의원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공공장소에서의 ‘펫티켓’ 문화 정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테크노폴리스 중앙공원 맨발걷기 흙길 산책로, 송해공원 백세맨발길 등 일부 공원에서는 반려동물의 배변 문제로 이용객 간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며 “지자체가 운영하는 반려동물 놀이터는 단순히 놀이 공간을 넘어 보호자를 위한 교육으로 반려동물 인식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문화가 자리 잡아가는 만큼, 사람과 반려동물이 함께 생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며 “공공 반려동물 놀이터 조성을 통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공공 공간을 마련할 것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