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학교가 AI 디지털교과서(AI 교과서)를 도입한 대구와 달리 나머지 지역은 AI 교과서 채택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구교육청은 학교별 자율에 맡긴 교육부 지침과 달리 의무 선정을 강요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전교조 대구지부는 “대구교육청의 자율 선정 침해가 교사들에게 무력감과 모멸감을 안겨줬다”며 “끝까지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20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국회의원(조국혁신당, 비례)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7일 기준, 1학기 AI 교과서를 선정했거나 선정 예정인 학교는 전체 1만 1,921곳 중 32.4%(3,857곳)에 그쳤다.
AI 교과서 채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로, 전체 학교 466개교 중 466개교 모두 AI 교과서를 채택했다. 반면 나머지 지역은 절반 이하의 학교만 AI 교과서를 도입했다. 전국 평균인 32.4%에 미치지 못하는 시·도교육청이 17곳 중 10곳이다.
강원도는 전체 학교 626곳 중 49%(304곳)이 AI 교과서를 도입했다. 충북·경북이 45%, 경기 44%, 제주 41%, 부산 35%, 충남 25%, 서울 24%, 전북 21%, 인천·대전 20%, 울산 15%, 광주 12%, 경남 10%, 전남 9%, 세종 8%로 그 뒤를 이었다.
20일 오후 전교조 대구지부는 성명을 내 “대구교육청의 AI 교과서 채택률 100%는 경북 45%, 부산 35%, 경남 10%, 울산 15% 등 인근 지역에 견주어봐도 비상식적인 수치라고 정의를 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100% 수치의 이면에 주목한다. 교육청은 의무 선정을 강요해 학교장의 교과서 선정 권한을 침해했고, 교사들의 의견을 묵살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전국에서 유독 대구교육청만 AI디지털교과서를 100% 채택했다는 사실은 자율선정을 위해 노력해 온 대구교사들에게 무력감과 모멸감을 안겨주는 것”이라며 “이번 사태에 대해 끝까지 교육청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개학을 1주 가량 앞둔 20일, 교육부는 AI 교과서 총 76종 가운데 74종의 이용료에 대해 교과서 발행사 측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교육부가 공개한 ‘74종 1차 합의 가격표’에 따르면 개별 교과서당 가격은 3만∼5만 원대 분포를 보였다. AI 교과서 가격은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의 교과용도서심의회를 거쳐 확정되면 관보에 게재된다.
대구교육청은 AI 디지털교과서 구독료를 4만 원으로 책정했으며, 만약 실제 구독료가 예산을 넘어선다면 추경을 통해 보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AI 교과서 전면 도입 대구교육청, 예산 부담도 불확실성 높아(‘25.02.06.)]
김보현 기자
bh@newsm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