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2월 18일 오전 9시 53분에도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추모식이 열린다. 참사가 일어난 것이 2003년이니까 올해 22주기다. 올해도 추모식 풍경은 비슷할 것으로 짐작된다. 정치의 부재 속에 인근 상인들이 추모식 반대 목소리를 채울 것이다. 시민안전테마파크가 위치한 팔공산 인근 상인회 측은 지난 2009년 10월 대책위 측에서 희생자 29명 유골을 수목장 형태로 묻은 것에 반발하며 갈등을 빚어왔다.
갈등의 원인은 대구시다. 주민 반대로 대구 중구 수창공원, 수성구 대구대공원 인근 등에 추모공원 설립이 잇따라 무산되자 대구시는 ‘쉬운’ 방법을 택했다. 사업이 진행되지 않으면 반납해야 하는 국비 100억원도 조바심을 내게했다. 대구시는 반대 여론을 의식해 인근 상인들에게는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가 추모공원이 아니라고 했고, 유족들에게는 결국 추모공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대구시와 대책위 간 벌어지는 법적 공방의 핵심도 바로 ‘이면합의’다. [관련기사=대구지하철참사 유족, 대구시 상대 ‘수목장’ 소송 패소(‘25.02.06)]

갈등을 중재하고 적극적으로 풀어야 할 대구시는 오히려 발을 뺐다. 2023년엔 대구시에선 시민안전실장이 참석했고, 지난해는 그마저도 없었다. 홍준표 시장은 취임 뒤 단 한 번도 추모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홍 시장은 “정쟁의 도구로 이용되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 오히려 참사를 정쟁화하는 모습이었다. 지난 2023년 2월 18일을 앞두고 올린 자신의 SNS에서, “그 참사를 잊지않기 위해 우리는 시민안전테마파크도 만들어 대구 지하철 참사를 교훈으로 삼고 다시는 그런 사회적 참사가 대구에서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임기 1년 안 된 홍준표, 20년 쌓인 지하철참사 추모 역사에 ‘정쟁화 시도’(‘23.02.16)]
적어도 노력하는 자세를 보이기 위해선 올해는 홍 시장이 추모식에 참석해야 한다. 오래전 대구시가 ‘쉽게’ 하고자 했던 일의 현재가 어떤지 보고, 듣고, 느끼길 바란다. 혹 그때 그 일은 자신이 관여한 일이 아니라고 할텐가. 2006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대통령 가운데 처음으로 제주 4.3사건 위령제에 참석해 국가폭력에 대해 사과했다. 이게 바로 정치의 할 일, 책임이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