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시터 활성화, 유기동물 감소·지역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대안”

달서구의회, ‘반려동물 돌보미 ‘펫시터’ 활성화 토론회

18:08
Voiced by Amazon Polly

반려동물 가구 증가에 따른 반려동물돌봄 서비스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민간 서비스들이 점차 활성화되는 가운데 공공 영역에서도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과 유기동물 감소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오는 23일 오후 1시 30분 달서구의회(의장 서민우)는 달서구청 2층 대회의실에서 ‘반려동물 돌보미 펫시터 활성화 및 돌봄 문화 정착을 위한 의견 수렴’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임미연 달서구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이 주관하고, 발제자로 이세원 수의사(바른동물병원 원장)가 나섰다.

▲ 오는 23일 오후 1시 30분 달서구의회(의장 서민우)는 달서구청 2층 대회의실에서 ‘반려동물 돌보미 ‘펫시터’ 활성화 및 돌봄문화 정착을 위한 의견 수렴’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세원 수의사는 “국내 반려동물 양육인구 비율은 30% 정도로 보고 있는데, 반려동물 서비스 경험 비율 가운데 동물병원은 80% 정도인데 반해 반려동물 호텔이나 반려동물 유치원 이용경험은 16%, 10.6%로 적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산책이 필수적이고, 활동적이고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한 강아지 펫시터와 실내 생활을 하고 독립적이고 조용한 돌봄이 요구되는 고양이 펫시터는 차이가 있다”며 “펫시터 유형은 방문, 위탁, 펫시터가 반려인 집에 머물면서 돌보는 하우스 시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 산책서비스나 낮동안 돌봐주는 데이케어 등이 있다. 고양이의 경우 위탁서비스는 권장되지 않는다”고 했다.

이 수의사는 “적절한 반려동물돌봄 서비스가 없으면 반려동물 유기 등 포기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고, 이는 사회적 비용으로 전가된다”며 “반려동물 측면에서는 스트레스와 건강문제가, 보호자에게는 활동 제한과 정신적 스트레스, 경제적 부담이 따를 수 있다”고 짚었다.

이어 “안전한 펫시팅을 위해 펫시터 자격증 도입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펫시터 서비스 표준화와 관련 법률을 정비해 보호자들의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면서 “반려동물돌봄은 복지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필수 요소인 만큼 펫시팅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했다.

이 수의사는 소상공인과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펫시팅 산업의 긍정적 역할도 언급했다. 이 수의사는 “소규모 펫시터 비지니스를 지원하기 위한 세제 혜택이나 금융 지원 정책을 도입하고, 펫시터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투자 및 스타트업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세원 수의사가 발제자로 나서서 반려동물 서비스 필요성을 설명했다.(바른동물병원 원장)

동물돌봄 서비스 인프라 조성 통해
유기동물 문제 해소하고
공공 일자리 창출, 반려동물 복지와 보호자에 도움

이어진 토론 순서에서 이춘옥 포인트웨이브 이사는 “저는 반려견과 반려묘를 키우고 있는데, 저희 가족 모두가 가는 여행을 간 지가 최소 10년은 된 것 같다. 반려동물 보호자들은 공감하겠지만 강아지를 어디 맡기기가 불안함이 크다”며 “주변에선 알음알음 친구나 가족이 와서 맡아주는 경우가 흔하다. 지금 명절을 앞두고도 당근 같은 곳에 보면 펫시터를 구하는 구인글도 많이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펫시터를 희망하는 분들 중에서도 반려동물을 제대로 돌볼 수 있을지 걱정하는 분들도 있다. 지자체에서 펫시터를 희망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일정한 교육을 하고, 보증을 해주면 일자리 창출면에서도 좋고, 반려동물 보호자에게도 안전한 반려동물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이 이사는 “개인적으로 저희 아이가 나이가 들어가니까 동물돌봄 호스피스 수요도 적지 않은 것 같다. 다양한 펫시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자체에서도 함께 고민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정석 수의사(바른동물병원 원장)도 “저희 집 고양이도 워낙 폐쇄적 성향이 있어서 쉽게 돌봄을 맡기기가 어렵다. 다른 토론자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병원과 연계한 펫시팅 필요성을 언급하셨는데, 공감된다”며 “지역동물병원이 동물돌봄 서비스를 정착시키는데 홍보나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적극적으로 제안할 수 있는 시스템이 현재로선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희도 진료를 볼 때 동물돌봄 측면에서 보호자 부재 상황은 아이들의 건강 문제와 직결되는 중요한 부분이다 보니, 그런 상황이 있으면 같이 고민을 하게된다”며 “이런 논의가 활발히 이어져서 보호자들이 안심하고 필요에 따라 동물돌봄 서비스를 정착될 수 있게 되면 좋겠다”고 했다.

중구, 남구 ‘캣대디’라고 소개한 황은성 씨는 “유기견이 정말 흔한 상황인데, 이런 동물돌봄 서비스가 활성화되면 유기견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며 “사업성을 가지려면 전문 자격을 갖춘 인력 양성도 중요하고, 사회적 가치 창출이 얼마나 될 것인지도 잘 따져봐야 할 것 같다. 주민의견 조사나, 지역조사, 이미 제도가 시행되는 곳 사례 조사 등을 통해 신중하게 접근하면 좋겠다”고 의견을 밝혔다.

황윤섭 달서구 경제지원과 과장은 “서울경기권 보다 대구경북권이 반려동물에 대한 지원이나 서비스가 5~6년 정도 늦다. 재정자립도 차이 문제가 있다. 재정적인 여력 때문에 정책 우선순위 차이가 날 수밖에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히 동물보호를 넘어 동물복지로 가는 단계인 것 같다. 오늘 토론을 통해서 고양이와 강아지에 대한 돌봄을 다르게 접근하는 등 세심한 정책 설계가 이뤄져야 할 것 같다. 이를 위한 관련 법제화와 그에 따른 정책적 고려가 따라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