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 금속노조 대구지부가 고용노동부에 태경산업의 각종 부당노동행위와 위법행위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을 촉구했다. 노조에 따르면 태경산업은 교섭에서 노조 무력화 의도가 담긴 단체협약(단협) 안을 제출하거나, 조합원 5명 전원을 징계 처분하는 등 노골적으로 노조 탄압 행위를 하고 있다. 이외에도 비조합원에게만 협조 수당을 지급하고, 교회에 나가는 비조합원에게 기타수당을 별도로 지급하는 등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는 여러 증거가 제시됐다. 태경산업 사측은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대구 달서구 성서산업단지에 위치한 태경산업은 자동차나 농기계에 쓰이는 고무호스를 제조하는 업체로, 현재 3개 공장(도급업체 2개 포함)에서 100여 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2014년 처음 노조가 만들어졌고 이후 3년여 간 사측의 기독교 강요, 공장 내 노동자 감시용 CCTV 설치, 일부 공장 폐업을 이유로 노조 조합원 해고 통보 등으로 노사갈등이 이어졌다. 한동안 잠잠하던 노사갈등은 2022년 상급단체인 성서공단노조가 금속노조에 가입하면서 다시 불이 붙었다. (관련기사=태경산업, 일부 공장 폐업 이유로 노조원에게 해고통보(‘16.6.30.))
노조는 2024년 임금 단체협약 교섭에서 사측이 제시한 단협안의 17개 조항에 노동조합을 무력화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주장했다. 17개 조항에는 ▲유일 교섭단체 삭제 ▲기존 단협의 노동조건 저하 금지 삭제 ▲회사의 양도, 분할, 합병, 이전 및 특수 인사에 대해 당사자와의 협의 후 시행 삭제 ▲태경산업 전체 노동자에 미치는 단협의 효력을 조합원에게만 제한 (이주노동자·비정규직 관련 단협 요구 투쟁 불가) ▲단협 자동 갱신 조항 폐지 등이 포함됐다.
뿐만 아니라 사측은 ‘조합활동 시 사전에 상급단체 공문을 비롯한 세부사항을 전달받고 조합활동 유·무급의 판단을 하겠다’며 조합 활동시간을 불인정한다는 이유로 조합원 5인에게 1인 당 20여만 원의 임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관련해 노조는 지난 7월 2일 고용노동부 대구서부지청에 ‘단협에 따른 조합 활동을 인정하지 않으며, 조합 활동 내용을 보고하라는 지배개입’이라며 부당노동행위로 신고했다. 같은 달 31일에는 임금체불로 진정을 넣었다.

12일 오전 민주노총 금속노조 대구지부는 ‘노조탄압 백화점, 태경산업 특별근로감독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부의 적극적인 법 집행을 촉구했다. 현재 금속노조 대구지부 성서공단지역지회 태경산업현장위원회에는 노조 설립부터 함께 한 2명, 작년에 가입한 2명, 올해 가입한 1명 총 5명의 조합원이 있다.
노조는 올해 7월부터 9월까지 고용노동부 대구서부지청에 사측의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부당노동행위, 근로계약서 미체결, 조합원 5인 임금 체불, 단협 위반 등 7건의 고발·진정을 넣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사측은 외부인을 교섭대표로 채용하고 본인들은 무책임하게 교섭에서 빠졌다. 회사에 책상도 없이, 충청도 공주에서 일주일에 하루만 오는 비상임 이사는 노조를 깨러 온 게 아니라고 강변했지만 철 지난 시기에 유행한 단협 개악안을 내밀었다”며 “여기에 더해 조합활동으로 외부활동을 수행한 걸 근무지 이탈로 징계했다. 교섭 중 교섭위원을 징계하는 사례가 어디 있나. 이는 노조 파괴자가 짠 시나리오”라고 주장했다.
조재식 성서공단지역지회 태경산업현장위원회 대표는 “태경산업에 노조가 설립된 지 10년이 넘었다. 처음 설립 당시엔 전 직원인 28명이 노조에 가입했다. 하지만 회사의 회유와 압박으로 전부 탈퇴한 뒤 2명이 남아 10여 년을 투쟁해 왔다. 그 사이 단협을 체결하고 회사에 설치된 (노조 감시용) CCTV를 철거하는 등 힘 있게 노조 활동을 했다”며 “노동청에 고발·진정을 넣은 게 여러 건이지만 처리 기간이 2~3개월 걸린다 한다. 그사이 사장의 악행은 도를 넘고 있다. 하루빨리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해달라”고 전했다.
<뉴스민>은 태경산업 측에 입장을 묻기 위해 여러 차례 전화했으나 답을 들을 수 없었다. 태경산업 관계자는 “(연락처를 남겨도) 입장을 들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보현 기자
bh@newsm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