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기준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 20%가 넘어서면서 대구시도 초고령사회에 접어들었다. 대구정책연구원이 지난달 내놓은 인구정책 시행계획 수립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대구도 다른 도시와 크게 다르지 않는 저출생의 고착화, 급속한 고령화, 청년인구 유출 등으로 심각한 소멸의 위기로 나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2021년 이후 30대 인구 일부가 증가하는 특이 경향이 확인돼 배경 분석이 요구된다.
4월 기준 대구의 65세 이상 인구는 47만 5,318명으로 전체 인구의 20.1%를 기록했다. 특‧광역시 중 부산시(23.1%)에 이어 두 번째 높은 수치다. 대구정책연구원은 지난달 26일 발간한 ‘2024년 대구광역시 인구정책 시행계획 수립방안’ 연구보고서를 통해 “청년층 인구 유출과 수도권 집중이 지속되고 있으며, 2024년 4월말 고령인구 비율이 20.1%가 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며 “단기간 내 인구 반등을 기대하기보단 인구 유입을 촉진하는 정주 환경 개선과 초고령사회 적응을 위한 정책 체계 마련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고령인구 비중은 증가하고, 청년·유소년 인구 비중 감소 경향이 뚜렷하다. 2017년 14.0%였던 고령인구 비중은 2023년 19.6%까지 늘었다. 반면 청년인구는 27.8%에서 24.6%까지 줄었고, 유소년인구는 12.7%에서 10.8%로 줄었다. 대정연은 이를 두고 “출생아 수 감소와 기대수명 증가 등으로 대구시 총인구는 2022년 대비 2052년 58만 명이 감소할 것이며 대구시 중위연령은 2022년 46.1세에서 2052년 59.7세로 높아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유출 청년인구 중에서도 20대의 비중은 갈수록 커지는 반면, 30대 비중은 감소하고 오히려 인구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21년 2030 유출 인구는 1만 1,710명을 기록하고 2022년 7,172명, 2023년 6,071명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는데, 이 기간 20대는 9,024명(2021년) 감소에서 7,088명(2023년) 감소로 감소폭이 줄긴했지만 감소 경향이 여전했고, 30대는 2,686명(2021년) 감소에서 1,017명(2023년) 증가로 전환됐다.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30대 인구유출의 반등은 30~34세 인구의 증가 영향이 크다. 대구 30~34세 인구는 2021년부터 증가세다. 2013년 18만 3,825명에서 2020년 13만 4,656명으로 26.7%(4만 9,169명) 감소했다. 하지만 2021년 13만 6,780명으로 소폭 반등했고, 2022년 14만 1,065명, 2023년 14만 6,165명으로 늘었다. 이 추세는 올해 상반기까지도 이어져, 7월 기준 14만 7,991명까지 늘었다.
35~39세 인구는 최근 들어 감소폭이 크다. 2013년 18만 3,694명에서 2018년까지 18만 명 근처 수치를 유지하다가 2019년 17만 181명, 2020년 15만 9,654명, 2021년 14만 8,085명, 2022년 13만 8,392명으로 연간 만 명 가량 줄었다. 2023년에도 13만 3,800명으로 감소세가 이어졌다.
30~34세 인구 증가는 대구 전체 인구와 20대 인구가 계속해서 줄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특이한 변화다. 2013년 250만 1,588명이던 대구시 총인구는 2023년 237만 4,960명으로, 12만 6,628명(5.1%) 줄었다. 20대 인구 역시 2013년 32만 2,547명이었다가 2023년 28만 2,470명으로 4만 77명(12.4%) 줄었다.
대구시는 이를 산업구조 개편에 따른 일자리 증가 영향이라 보고 있다. 지난달 25일 대구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대구의 결혼연령(30~34세) 인구가 2022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혼인 건수 증가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는 민선 8기 대구시의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산업구조 대개편과 시정 전 분야에 걸친 대구혁신 100+1 추진에 따른 실질적인 효과”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명확한 근거는 없다. 대구시는 고용률 상승과 취업자 수 증가를 근거로 들지만 이는 전 연령대를 통합한 수치이므로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오히려 대구시 주장을 반박하는 근거로도 해석 가능하다.
올해 5월 통계청이 발행한 ‘2023 경제활동인구연보’에 따르면 대구의 고용률(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2022년 59.1%에서 2023년 59.8%로 상승했고 취업자 수도 2022년 122만 8,000명에서 2023년 124만 7,000명으로 늘었다.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30~34세 인구 증가에 ‘일자리 증가’ 영향이 있는지 추정해 볼 수 있다. 전 연령대의 취업자 수는 증가세이지만 30~39세 취업자 수는 감소세이다. 2021년 22만 4,000명이던 30~39세 취업자 수는 2022년 21만 8,000명, 2023년 21만 4,000명으로 줄었다.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2021년 22만 8,000명에서 24만 6,000명, 26만 8000명으로 늘었다.
산업별 취업자 수를 살펴보면 민선 8기의 산업구조 재편 영향이 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대구시는 민선 8기 들어 ABB·로봇·반도체·UAM·헬스케어 등 5대 미래 신산업을 육성해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주로 제조업 중심 일자리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2022년 24만 명에서 2023년 24만 2,000명으로 소폭 늘었다.
아직까진 전문가들도 대구의 30~34세 인구 증가에 대해 명확한 답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자리 증가에 더해 주변지역에서 거점도시로 청년층 이동, 부동산 입주물량 증가 등이 원인으로 꼽히지만 장기적인 현상이 되려면 명확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신형진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학계에서도 보통 20대 초반에는 대학, 30대 초반에는 일자리 문제로 이동한다고 본다. 복합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30~34세 인구 증가세가 뚜렷한 건 긍정적 신호”라고 설명했다.
김보현 기자
bh@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