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포틀랜드 대학 등 서구 지역대학에는 담장이 없다. 대학의 교육이 지역사회과 섞여 있는 것이다. 오랜 역사 속에서 상생만이 길이라는 것을 반영한 사례다. 반면 중국 대학들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외부인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교내가 잘 가꿔져 있기에 대학 자체의 시스템과 안전이 훼손될 걸 우려하는 것 같다. 한국도 이와 비슷한 폐쇄성을 갖고 있다. 대학과 사회가 적절한 관계 속 상생방안을 찾아야 한다.” (김영철 계명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지난 27일 오후 3시 대명3동행정복지센터에서 ‘대명3동 지역사회 상생방안 주민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는 대명3동주민자치위원회가 지난 4월부터 지역공동체 강화, 대학과 상생방안을 찾기 위해 고민한 결과물이다. 주민자치위는 관내 3개 대학(계명대, 대구대, 영남이공대학)과 주민, 상권, 예술단체의 협력이 지역을 살릴 수 있는 길이라 보고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조재구 남구청장은 축사에서 “전국을 다녀봐도 오늘처럼 주민들이 직접 나서서 행정복지센터를 붙들고 토론회를 여는 경우는 드물다. 지방자치란 결국 동네 살림에 주민들이 직접 나서는 것”이라며 “우리 스스로 (주민들이) 도망 안 가는, 아이를 낳고 기를 수 있는 동네로 만들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철 계명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가 주제 발표를 하고, 조상용 대명3동주민자치위원회 부위원장(앞산마을방송국 대표), 송민선 남구의회 의원(국민의힘, 대명1·3·4·10동), 이창용 지방분권운동 대구경북본부 상임대표, 김진섭 대명시장 상인회장, 정철원 공연예술단체연합 한울림 대표, 은재식 우리복지시민연합 사무처장(대명3동주민자치위원)이 토론과 진행 등으로 참여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김영철 명예교수는 “남구는 인구가 적고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도도 낮은 편이다. 힘도, 돈도, 네트워크도 없는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대구지역문제해결플랫폼이 만들어져 있다. 이를 주민자치위원회에서 적극 활용할 것”을 권하며 “대학도 지역사회에 대한 책무성 강화와 더불어 전공 단위의 학생, 교수가 참여하는 전공융합혁신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송민선 의원도 대학 개방을 주문했다. 송 의원은 “학령인구 감소는 어쩔 수 없는 추세지만, 좋은 학군 위주로 인구 유입은 증가할 것이다. 비관적인 이야기지만 남구 학군으로 유입은 어렵다”며 “지역사회는 대학 속으로 들어가고, 대학은 지역사회 속으로 나와야 한다. 학교 밖으로 수업을 꺼내는 도심형 캠퍼스가 주요 방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상용 부위원장은 대명3동 공연거리 예술단체와 상인 간 협력을 강조했다. 조 부위원장은 “2021년 보드레길 상인회, 삼각지 맛따라길 상인회, 계대 후문 상인회 3개의 상인회가 생겼고 올해는 계명대 창업지원단과 MOU를 맺었다. 캠퍼스 축제에 참여하거나, 책자를 만드는 등 활동을 할 예정”이라며 “계명대가 성서로 이전하기 전엔 작은 점포도 장사가 잘됐지만 요샌 갈수록 협력이 어렵다. 상가가 침체되면서 빈 점포, 빈집도 늘었다. 그래도 소극장이 들어오며 대명공연거리가 형성됐으니 예술단체, 학교, 주민 등 지역 인프라를 활용해 축제와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이어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철원 대표도 “서울에서도 젊은 예술가가 내려오던 대명공연거리는 2020년부터 정부 지원 축소 등으로 정체기를 겪고 있다. 대명3동, 대명공연거리, 계명대와의 상생 역사는 길다. 대명공연거리의 지속성을 위해선 지자체, 예술단체, 대학 등 관계자의 네트워크가 중요하며, 여기에 주민 참여를 제도화해 커뮤니티와의 조화도 모색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창용 상임대표는 토론회를 평가하며 “동네에서 주민들이 공적인 토론을 하는 게 진정한 민주주의 현장이라고 본다. 대명3동은 주민자치에 대해 진일보 모델을 만들어 갈 것이다. 문제해결의 가장 큰 문제는 주민들이 힘이 없다는 점이다. 어느정도 성취는 할 수 있지만 근본적 한계에 부딪힐 것이다. 주민자치위는 대명3동 1만 명의 주민들과 연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보현 기자
bh@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