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당이 4.10 총선에서 1석도 얻지 못해 22대 국회에서 원외정당이 됐다. 2004년 민주노동당이 10석을 획득해 국회에 입성한 것을 기준으로 20년 만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진보정치의 몰락’이라고도 말한다. 27일 대구에 온 김준우 정의당 대표는 “창당 이후 가장 어려운 시기”라고 냉정히 평가하면서 “앞으로의 세계관 업데이트가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7일 오후 뉴스민과 사회정치포럼 ‘너머’, FLAT_PLACE, RedStone이 공동 주최·주관하는 ‘시대유감-공화국의 위기’ 5강은 ‘정의당의 몰락과 진보정치의 쇠퇴’를 주제로 진행됐다. 연사로는 김준우 정의당 대표와 채장수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나섰다.
포럼은 사면초가, 반구저기, 과하지욕, 권토중래 네 개의 챕터로 두 시간 동안 진행됐다. 정의당의 22대 총선 결과를 되짚고 현 상황을 분석하는 걸로 시작해 진보당, 기본소득당 등 정의당과 다른 전략을 선택한 정당에 대한 평가와 앞으로의 과제까지 나눴다.
가장 먼저 정의당의 22대 총선 결과에 대해 김 대표는 “창당 이후 가장 어려운 시기이자 기존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시작할 수밖에 없는 시점”이라고, 채 교수는 “대부분의 무관심, 나머지의 조롱, 예측했지만 막지 못한 추락”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선거로 정의당뿐만 아니라 진보정치가 몰락했다는 의견에 대한 생각을 묻자 채 교수는 “그에 앞서 ‘진보정당의 폭이 어디까지냐’를 물을 수밖에 없다. 언론에서 말할 땐 진보가 민주당이지만, 정의당을 말할 때는 기준이 또 달라진다. 대중들이 이해가지 않는 지점이 있다. 개념이 주는 표상을 통해 투표하는데, 개념이 오버랩되는 부분이 많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채 교수의 지적을 이어 받아 “진보정치, 진보정당의 역할이 이번 선거로 축소된 건 맞다. 진보의 개념에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교수님의 지적에 대해선 ‘여전히 우리가 2004년 즈음의 세계관에서 벗어나지 못한 걸까’란 질문을 던져 본다. 중도를 표방하던 민주당이 촛불 이후 진보정당이라고 참칭‧자처하게 된 영향도 있다”고 덧붙였다.
정의당과 다른 전략을 선택한 다른 진보정당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자 채 교수는 “많은 정당이 생겼다가 사라진 게 진보 진영에 대한 무관심을 불러온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장기적으론 제도권 내에서 활동을 목표로 하는 진보정당의 구도가 명확해졌으면 좋겠다”며 “그런 의미에서 연합정당 성공은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나름의 성과를 낸 정당은 다음 선거에서도 경로의존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오히려 장기적으론 민주당과 연합을 목표로 해서 민주당 좌파로서의 입지를 굳혀나간다면 민주당도, 진보진영의 공간에도 좋지 않을까”라고 봤다.
김 대표는 “독자 돌파 가능성이 없어서 선택했다고 본다. 힐난할 문제는 아니다. 다만 우린 혼자라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라며 “객관적 차이가 판단의 차이를 낳았다. 정당이 의석을 얻기 위해 유리한 선택을 하는 걸 예전의 운동적 관점으로 판단하는 건 맞지 않다. 다만 2012년 통합진보당이 13석을 얻었지만 2016년 정의당은 민주당과 야권연대를 하지 않고도 자력으로 비례대표 4석을 얻었다. 지금 다른 선택을 한 진보정당들이 4년 후 독립적으로 돌파할 역량을 길렀는지를 두고 대중이 냉정하게 판단할 것”이라고 전했다.
향후 진보정당의 연합 가능성에 대해 채 교수는 “민주노동당이라는 예외적인, 성공할 수 없는 사례에 기준점을 둘 필요는 없다. 이제는 진보의 탈노동화가 필요할 것 같다. 노동을 배제하자는 게 아니다. 노동중심적인 연대, 동질성의 연대보다는 타자와의 연대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진보정당의 재구성을 위한 중요한 계기도 될 것”이라고 답했다.
김 대표는 “정의당이 만들 나라가 메인 콘텐츠가 되어야 하는데, 민주당과의 관계 문제가 과잉됐다. 앞으로는 세계관의 업데이트가 중요할 것이다. 좋은 내용과 배우, ‘착하게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만으론 더 이상 울림이 만들어지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김 대표는 진보정당에서 나와야 할 정치인의 표상으로 “언론에서 말을 잘했던 노회찬 의원이나 금속노조의 심상정 의원이 갖던 의미뿐 아니라 현실 정치 속에서 본인들이 성과를 내고 국민들로부터 각인받는 정치인들이 가진 의미가 있다. 앞으론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 낼 수 있을까가 주요 과제”라고 전했다.
채 교수는 원외정당이 된 정의당의 역할로 “소수자, 원외정당이기 때문에 잘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정의당이 실패한 원인은 민주당과 제휴를 못 해서가 아니다. 자체 콘텐츠를 대중에게 물화시킬 수 있는 이미지가 없었다”며 “오히려 가장 낮은 차원에서 생각을 정리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날 포럼 진행은 뉴스민 천용길 대표가 맡았다. ‘시대유감-공화국의 위기’ 시리즈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위기, 갈등을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기획됐다. 뉴스민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도 다시 볼 수 있다.
김보현 기자
bh@newsmin.co.kr